인스턴트 라면은 1958년 일본 닛신식품 창립자인 안도 모모후쿠(安藤百福)가 발명했다. 그는 일본의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고, 조리가 간편한 국수를 개발하고자 했다. 하지만 국수의 수분으로 저장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웠다. 각고의 노력 끝에 국수 반죽을 익힌 뒤 기름에 튀기는 방식을 고안해 낸 것이 최초의 라면 탄생 배경이다.
한국 최초의 라면은 일본에서 전해졌다. 삼양식품 전중윤 명예회장이 6·25전쟁 이후 식량난 해결을 위해 1963년 일본 묘조식품에 요청해 라면 제조 기술을 배웠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삼양라면’이다. 최초의 라면은 담백한 닭 국물 라면이었는데 한국인의 입맛에 맞지 않았다. 하지만 정부가 1960~70년대 쌀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혼분식 장려 정책을 시행하면서 많은 기업이 라면 시장에 뛰어들었고, 지금과 같은 인기 식품이 됐다.
한국인의 인스턴트 라면 사랑은 각별하다. 1인당 라면 소비량은 무려 78개로 세계 1위다. 최근에는 K라면이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해 한국 라면 수출액은 전년 대비 24% 증가한 9억 2500만 달러(약 1조 2000억원)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세계인이 한국 라면을 좋아하는 이유는 K콘텐츠의 인기뿐만 아니라 누가 어디서 조리하더라도 한국에서 먹었던 맛을 똑같이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 안성시 안성맞춤박물관에서 오는 8월 25일까지 안성탕면 출시 40주년을 맞아 농심 안성공장과 함께 ‘내 입에 안성맞춤’이라는 특별전시회를 열고 있다. 라면 애호가라면 한번 방문해도 좋을 듯하다.
2024-01-09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