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편향, 분노, 혐오의 사이버 여론 공간/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열린세상] 편향, 분노, 혐오의 사이버 여론 공간/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입력 2013-06-18 00:00
업데이트 2013-06-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언론과 여론 문제를 공부하면서 다양한 매체의 부침을 추적하고 여론의 흐름을 살펴오고 있지만, 요즘처럼 상황과 사태 파악을 잘하고 있는지 자신감을 느끼기 어려울 때도 없었던 듯하다. 몇 년 전에는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진보 쪽의 ‘나꼼수’(나는 꼼수다)가 나와서 인구에 회자되면서 선거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조사결과도 나오더니 요즘은 보수 쪽의 ‘일베’(일간 베스트 저장소)가 젊은 층 사이에 유행처럼 번져 이곳의 흐름을 봐야 최근의 정파적 여론 지형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이 밖에도 인터넷과 소셜미디어 공간에서는 저들만의 관심사, 저들만의 의식과 정서를 공유하는 수많은 집단이 복잡한 형태로 활약하고 있다.

민주 사회에서 언론은 시민들의 의견과 의견의 집합체인 여론을 널리 보도하고, 지도층은 여론을 반영하여 정책을 시행하면서 사회 발전을 도모한다. 신문·방송과 같은 대중매체 중심 시대에는 언론의 보도내용을 보면 대체로 여론의 흐름을 알 수 있고, 또 과학적인 여론조사를 통해 여론의 현주소를 파악할 수 있었다. 시민들의 의견과 주장의 옳고 그름은 이성과 합리가 통용되는 토론의 장을 거치면서 가려지는 것이 이른바 숙의민주주의의 기본 모델이다.

소셜미디어가 고도로 발달한 요즘 우리 사회의 여론 형성과정이나 토론 문화를 보면 과연 숙의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 때가 많다. 여론이 어디서 어떻게 형성되는지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새로운 형태로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는 사이버 공간을 들여다보면 이성적·합리적·건설적인 토론 대신에 분노와 혐오, 비방과 욕설, 편향적인 주장이 난무한다. 한쪽으로 치우친 주장과 감정이 폭발하고 있는 이 공간에서 넌지시 다른 의견이나 주장을 내밀라치면 정서적인 집단 몰매를 당하기 일쑤다. 아니, 제정신을 가졌으면 이런 데 끼어들지 않는 것이 상책이다. 진보든 보수든 편향과 분노와 혐오로 무장한 여론의 진지를 구축하고 그 속에서 자기들끼리 낄낄거리며 편향을 부추기고 상대편과는 말싸움 난타전을 전개하고 있는 것이 요즘 우리 사회 사이버 공간 여론의 지배적인 흐름인 것 같다.

사이버 여론 공간은 저질 언어가 난무하고, 왜곡되고 잘못된 사실들을 확대 재생산해 내며, 사회적 대의의 성찰 대신 집단이기주의의 편협된 감정을 분출하는 문제점들을 드러내고 있다. 나꼼수에서 활약했던 김용민씨는 지난해 선거국면에서 사이버 공간에서 습관적으로 사용하던 저질 언어가 공적인 공론장에 표출돼 곤욕을 치르기도 했다. 요즘 ‘일베’ 사이트에 들어가 보면 욕설은 기본이고 문화가 됐음을 알게 된다.

문제의 사이버 공간은 사실관계를 따지지 않고 주장과 편 가르기에 몰두한다. 최근 ‘광주민주화운동은 북한의 조종에 의해 일어난 폭동이었다’는 주장이 ‘일베’를 중심으로 퍼져 나갔고, 이를 그대로 옮긴 일부 종편사들이 방통위로부터 징계처분을 받았지만 여전히 이 주장은 사이버 공간에서 횡행한다. 사실임을 확인시켜줄 어떤 자료나 근거가 제시된 적은 없다. 오히려 극우 언론인으로 평가받는 조갑제씨가 “광주민주화운동에 북한군이 침투했다는 주장은 허황된 것”이라는 글을 쓴 후 ‘일베’ 이용자들에게 ‘종북’으로 몰리는 형국이다. 이런 황당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데도 우리 사회는 어쩌지 못하고 있다. 사이버 공간에서 편향되고 저질스러운 언어로 점철된 주장들은 표현의 자유와 소수자 문화라는 이름으로 오히려 미화되면서 더욱 공격적으로 드세지고, 외부의 비판에 대해서는 다시 분노와 혐오로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사회적 화해와 통합을 위한 소수자와 약자의 보호와 같은 대의는 사이버 여론 공간에서 조금이라도 성찰할 여지가 없다. 오히려 사이버 여론 공간의 행동대원들은 자신들이 약자임을 내세우며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다른 약자를 공격한다. 일부 극보수 사이트는 여성 혐오, 이주노동자 혐오, 호남 혐오를 드러내고 심지어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을 폄훼하기도 한다. 편견과 분노, 혐오로 가득찬 이런 주장들은 분명히 저질 언어, 저질 생각, 저질 행동이다. 하지만, 이들에게 저질은 부끄러움이 아니라 당당함이다. 이를 어찌 할까.

2013-06-18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