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지대로 이동, ‘썬스타호 좌초’ 아라온호 14시간 만에 출동해..현장보니 ‘아찔’

‘안전지대로 이동’

썬스타호가 안전지대로 이동하며 무사히 구조작업을 마쳤다.

남극해에서 유빙에 좌초된 우리나라 원양어선 ‘썬스타호(628t·승선원 39명)’가 ‘아라온호(쇄빙연구선·7487t)’에 의해 안전지대로 이동했다.

해양수산부는 썬스타호가 유빙에 올라타는 바람에 선체가 13도가량 기울어진 상태로 좌초했으나 아라온호가 사고 발생 14시간 30분만에 출동해 유빙을 깨고 썬스타호가 자력으로 안전지대로 이동했다고 19일 밝혔다.

해수부에 따르면 썬스타호는 남극해에서 일명 ‘메로(이빨고기)’를 잡는 원양어선으로 칠레에서 남극해로 향하다가 뉴질랜드로부터 1500마일 떨어진 남극해상에서 18일 오후 7시30분쯤 선체 앞부분이 유빙에 얹혀져 선체가 진행방향의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오도 가도 못하는 처지가 됐다.

크기 15m×7m×2m의 유빙에 썬스타호의 선체 앞부분부터 40m가량이 얹혀졌다. 사고 당시 썬스타호는 선체 등이 크게 손상되지 않았고 기관도 정상작동했으나 유빙에 얹혀진 탓에 이동이 불가능했다. 한 쌍을 이뤄 출항한 같은 소속회사의 ‘코스타호(862t)’가 예인선을 연결해 썬스타호의 탈출을 시도했으나 실패함에 따라 해수부에 조난신고를 했다.

해수부는 18일 오후 8시 30분쯤 조난 신고를 접수하고 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라 외교부·국민안전처 등에 상황을 전파하고 썬스타호 승무원 전원이 특수 방수복을 착용하고 코스타호로 대피하도록 조치했다.

썬스타호에는 선장과 항해사, 기관사, 기사, 조리사 등 5명이 잔류해 구조작업을 도왔고 나머지는 전원 대피했다. 썬스타호에는 한국인 7명·인도네시아인 23명·필리핀인 5명의 선원과 한국인과 러시아인 옵서버 1명씩이 승선했다.

해수부는 전날 오후 8시 30분쯤 조난 신고를 접수받고 외교부, 국민안전처 등 관계기관이 상황을 전달했다. 해수부는 썬스타호 주변 100마일 이내에서 구조 활동이 가능한 선박이 없어, 130마일(10시간 항해거리) 떨어져 항해 중이던 쇄빙선 ‘아라온호(7487t)’에 구조를 요청했다.

아라온호는 남극 장보고기지 물품 보급과 로스해 연구활동을 마치고 연구원 50명의 귀국을 위해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항으로 항해 중이었다.

네티즌들은 “안전지대로 이동, 다행이다”, “안전지대로 이동, 아찔했네”, “안전지대로 이동, 아라온호 있어서 다행이었구나”, “안전지대로 이동, 인명피해 없어서 다행이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사진=뉴스 캡처(안전지대로 이동)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