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인비대위 결의안 발표

영화인들이 부산국제영화제의 독립성과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 올해 10월 영화제를 보이콧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2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긴급 기자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다.<br>연합뉴스
‘부산국제영화제 지키기 범영화인 비상대책위원회’는 2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가 영화제의 자율성을 계속 부정한다면 영화인들은 올해 영화제 참가를 전면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비대위는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여성영화인모임 등 10개 단체로 구성됐다. 이 같은 결의안은 단체별 총의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영화인들은 기자회견문에서 “‘다이빙벨’ 상영을 빌미로 영화제를 정치적 이념의 전쟁터로 변질시킨 서병수 부산시장과 이에 동조한 부산시의 행태를 착잡하게 지켜보며 우리는 끝까지 인내심을 잃지 않고 영화제와 부산시 양자 간 화해와 소통을 위해 꾸준히 중재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그럼에도) 부산시는 영화제 신규 자문위원 68명을 인정할 수 없다고 법적 대응에까지 나서며 노골적인 간섭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영화인들의 중재 노력을 외부 불순 세력의 개입이라고 모욕한다면 더이상 영화제에 발을 디딜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덧붙였다.

비대위는 이날 서 시장에게 조직위원장 사퇴를 즉각 실행하고 정관 개정에 전향적으로 나설 것과 신규 자문위원에 대한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철회하는 등 부당 간섭을 중단할 것, 그리고 영화제 훼손에 대한 잘못을 공개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할 것을 요구했다.

영화제 측과 불협화음을 내던 서 시장이 지난달 당연직 조직위원장 자리를 민간에 넘기겠다고 선언한 뒤 영화인들은 그 근거가 되는 정관 개정을 줄기차게 요구했지만 같은 달 정기총회에서 이 같은 안건이 다뤄지지 않자 영화제 측은 임시총회를 요구했다. 그러나 부산시가 총회 전 신규 자문위원 위촉 과정을 문제 삼으며 가처분 소송을 제기해 개최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영화계 일각에서는 부산시 지원을 받지 않는 대안 영화제 개최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 고문인 이춘연 영화인회의 이사장은 “영화제를 버리겠다는 게 아니라 더 발전시키고 싶다고 마지막으로 읍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