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만의 독특한 관점과 감수성으로 전 세계에 제공할 수 있는 것들이 무한하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이민자 가족의 절절한 삶을 그린 TV 시리즈 ‘파친코’를 공동 연출한 코고나다 감독은 K콘텐츠의 가능성에 대해 이렇게 밝혔다. 1일 개봉한 영화 ‘애프터 양’의 연출을 맡아 다시한번 한국 관객을 만나게 된 코고나다 감독은 “작품을 통해 모국인 한국과 함께할 수 있어서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기쁘다”고 말했다.

영화 ‘애프터 양’은 백인 아버지, 흑인 어머니, 중국인 아이로 이뤄진 한 가족이 함께 지내던 AI 로봇 ‘양’(저스틴 민)의 부재를 겪으면서 진정한 가족의 의미와 아시아인의 뿌리에 대한 화두를 던지는 SF 영화. 감독은 극중 중국인으로 설정된 로봇 ‘양’이 미국 내 아시아인의 입장을 잘 대변하는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아시아인에 대해서 특정한 선입견을 갖고 있고, 그런 개념에 맞춰 나를 구겨 넣어야한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영화에는 아시아인의 정체성과 이민자로서 가지는 고민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인간에 대한 존재론적인 고민이 담겨있죠.”

대학에서 영화학을 전공한 그는 학자 출신 감독으로 2017년 영화 ‘콜럼버스’로 데뷔했다. 일본의 오즈 야스지로 감독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예명인 코고나다는 오즈 감독의 각본가인 노다 코고의 이름에서 따왔다.

“제가 한창 존재론적인 고민에 빠져 있을 때 동양철학을 기반으로 시간의 임시성에 대해 다루는 오즈 감독의 작품에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일종의 존재에 대한 삶의 경험을 간접적으로 했다고나 할까요? 제 이름에 두 분에 대한 존경의 의미를 담은 셈이죠.”

감독은 주인공 제이크가 AI ‘양’의 기억 데이터를 들여다보는 장면을 통해 “스쳐지나가는 일상의 작은 순간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게 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파친코’와 ‘애프터 양’에서 공통적으로 가족을 주제로 다루고 있는 감독은 “가족은 제게 있어 작은 소우주와도 같다”면서 “가족은 일상적이고 보편적이지만 동시에 미스터리한 면도 갖고 있고, 우리 자신을 정의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흥미로운 주제“라고 말했다. 그는 “진짜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아시아인의 감수성”이라면서 ‘파친코‘의 성공 요인도 보편적인 감수성에서 찾았다.

“‘파친코’는 굉장히 한국적인 스토리를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디아스포라를 겪고 있는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감동적으로 전달했기 때문에 전세계 누구라도 마치 내 이야기처럼 느낄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봉준호, 박찬욱, 홍상수 감독 등 한국 거장들을 두루 좋아한다고 밝힌 그는 “현재 한국 문화와 K콘텐츠의 인기와 파급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지나가는 트렌드는 아닐 것”이라고 짚었다.

“고난을 겪어 낸 한국인들의 경험과 한(恨) 등은 존재론적 의미를 찾는데 있어서 전 세계에 큰 도움을 줍니다. 요즘 드라마 ‘나의 아저씨’를 추천받아 흥미롭게 보고 있는데, 한국 드라마는 시간과 공간의 여백이 잘 표현되고 단조로워 보이는 소소한 일상을 잘 잡아내면서도 지루하지 않고 몰입감이 뛰어나죠. 그것이 바로 한국적인 콘텐츠만이 가질 수 있는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은주 기자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