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체 살 수 있는 슈퍼지구 몇兆개

생명체 살 수 있는 슈퍼지구 몇兆개

입력 2010-12-02 00:00
업데이트 2010-12-02 1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주 공간에는 기존 추정치보다 3배나 많은 별이 있으며 따라서 별 가운데 가장 흔한 유형인 적색왜성의 수도,또 적색왜성 주위를 도는 슈퍼지구의 수도 그만큼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고 사이언스데일리와 BBC 뉴스가 1일 보도했다.

 예일대의 피터 반 도쿰 교수 주도로 이루어진 최신 연구에 따르면 우주의 별 수는 300,000,000,000,000,000,000,000개로 추정되며 지구와 비슷한 생명체 서식 조건을 가진 슈퍼지구의 수도 몇조(兆)개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왜성은 우리 태양에 비해 질량이 10~20%에 불과하고 비교적 어둡기 때문에 학자들은 지금까지 우리 은하와 인접 은하 아닌 곳에서는 이런 별을 찾아내지 못했고 우주의 별 가운데 얼마나 많은 것이 적색왜성인지도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연구진은 하와이 케크 천문대의 강력한 망원경을 이용해 5천만~3억광년 거리에 있는 8개의 비교적 가까운 대형 타원은하들 속에서 예상보다 20배나 많은 적색왜성을 발견했다고 네이처지에 발표했다.

 이들은 “우리 은하보다 늙은 은하들에는 젊은 은하들에 비해 20배나 많은 적색왜성들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면서 “적색왜성은 보통 100억년 이상 된 별들로,주위를 도는 행성들에 복잡한 생명체가 존재할만한 나이”라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우리는 흔히 다른 은하들도 우리 은하와 같을 것으로 추측해 왔지만 이런 사실들로 미뤄보면 다른 은하들에는 다른 조건이 있을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따라서 이는 은하의 형성과 진화에 관한 우리의 이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은하들에 들어 있는 암흑물질의 양이 기존 추정치보다 작은 대신 수많은 적색왜성이 생각보다 많은 질량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있고 이것이 우주의 총질량 가운데 찾을 수 없었던 ‘빠진 부분’을 설명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로 우주의 별 수가 늘어난 것뿐 아니라 별들 주위를 도는 행성의 수도 늘어났고,생명체 서식 조건을 갖춘 행성의 수도 그만큼 늘어나게 됐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