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안전확인까지 日서 오스프리 비행 보류”

美 “안전확인까지 日서 오스프리 비행 보류”

입력 2012-08-04 00:00
업데이트 2012-08-04 10: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전성 논란 수직이착륙기 日 배치 중…주민 반대

이미지 확대
미군의 신형 수직이착륙 수송기의 추락 사고가 잇따르자 일본 정부가 오키나와(沖繩) 배치를 당분간 연기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2011년 6월13일 미국 샌디에이고 미군 기지에서 촬영한 MV-22 오스프리.
미군의 신형 수직이착륙 수송기의 추락 사고가 잇따르자 일본 정부가 오키나와(沖繩) 배치를 당분간 연기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2011년 6월13일 미국 샌디에이고 미군 기지에서 촬영한 MV-22 오스프리.
미국은 안전성 논란을 빚고 있는 신형 수직이착륙기 오스프리를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비행 작전에 투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리언 패네타 미 국방장관은 3일 펜타곤에서 미국을 방문한 모리모토 사토시(森本敏) 방위상과 함께 기자회견을 하고 올해 4월과 6월 미국 플로리다와 모로코에서 발생한 오스프리 추락 사고의 원인이 밝혀져 안전성이 확인될 때까지 일본에서 이 수직이착륙기의 비행을 보류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스프리는 엔진과 프로펠러를 갖고 있어 고속 전진 비행과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군용기로 미국이 일본 오키나와에 전략적 배치를 계획 중이다.

오스프리 MV-22는 그러나 올 들어 플로리다와 모로코에서 추락해 모두 2명이 숨지고 6명이 부상해 안전성이 우려되고 있다.

미국은 지난달 말 오스프리 MV-22 12기를 야마구치(山口)현 이와쿠니(岩國)시의 주일 미군 기지로 반입했으며, 이를 조만간 오키나와에 배치할 예정이다.

이 때문에 이와쿠니 주민들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수직이착륙기의 배치에 항의하는 해상 시위를 벌였다.

패네타 미 국방장관은 오스프리 사고 조사를 이달 말까지 마무리하고 일본으로부터 배치 동의를 받을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모리모토 방위상은 이번 방미 도중 버지니아주 콴티코 기지를 방문해 직접 오스프리의 비행을 참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