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탐사의 역사, 큐리오시티로 이어지다

화성 탐사의 역사, 큐리오시티로 이어지다

입력 2012-08-06 00:00
업데이트 2012-08-06 16: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역사 속 화성 탐사의 성공과 실패 재조명경차 크기 ‘큐리오시티’ 생명체 흔적 찾아나서

인류 사상 최초로 화성에 우주비행선을 보내는 데 성공한 나라는 소련이었다. 1971년 소련 항공우주국의 ‘마르스-3’은 착륙 20초 만에 거대한 먼지 폭풍 때문에 작동을 멈췄지만, 처음으로 화성 표면에 다다랐다는 면에서 큰 의의가 있었다.

두 번째 성공은 미국이 거뒀다. 1976년 미국은 탐사선 ‘바이킹’ 1,2호를 화성에 안착시켰다. 두 탐사선은 처음으로 화성의 사진을 찍어 전송했고, 화성 토양을 채취해 화학 분석까지 수행했다.

20여년의 공백기를 거친 뒤 1997년 미 항공우주국(NASA)의 ‘마르스 패스파인더’ 호는 낙하산과 에어백을 이용해 가볍게 착륙한 뒤, 소형 탐사로봇 ‘소저너’를 내보내 표면을 탐사하는 데 성공했다.

NASA는 이어 2004년 탐사 로봇 ‘스피릿’과 ‘오퍼튜니티’를 보냈다. 오퍼튜니티는 지금도 화성에 남아 자료를 계속 전송해오고 있다. 2008년 화성에 보내진 NASA의 ‘마르스 피닉스’도 화성 극지에서 155일 동안 활약했다.

◇수없는 실패의 역사 = 1971년 ‘마르스-3’이 화성 착륙에 성공하기 한 달 전, 소련은 화성 지표면과의 충돌로 ‘마르스-2’를 잃는 아픔을 맛봤다. 이후에도 소련은 1974년 ‘마르스-6’과 ‘마르스-7’를 보냈지만 두 탐사선 모두 화성에 가까이 다다르고 나서 행방이 묘연해졌다.

1996년엔 러시아 항공우주국이 ‘마르스-96’을 발사했으나 정상궤도에 진입시키지 못했다.

NASA가 1999년 쏘아 올린 ‘마르스 폴라 랜더’는 화성 대기권에 진입한 뒤 사라졌다가 이후 극지에서 파편이 발견돼 추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럽도 화성 탐사를 시도했다. 2004년 유럽 항공우주국은 ‘비글-2’를 보냈지만 역시 터치다운 전 연락이 두절됐다.

지난해 11월에는 러시아의 화성위성탐사선 ‘포보스-그룬트’가 화성 주위를 도는 두 개의 위성 가운데 하나인 포보스의 토양 표본을 채취하기 위해 발사됐으나, 정상 궤도 진입에 실패해 지구로 떨어졌다.

이외에 화성 궤도를 돌거나 근접비행을 하도록 위성도 수십 차례 보내졌다. 그러나 현재 살아남은 것은 3개뿐이다.

◇’꿈의 탐사선’ 큐리오시티 = NASA의 큐리오시티는 지난해 11월 아틀라스 V로켓에 실려 플로리다주(州)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를 떠난 지 약 8개월 만에 6일 화성에 안착했다.

6개의 바퀴를 단 큐리오시티는 경차 크기에 무게 약 1t의 덩치를 자랑한다. 내부에 탑재된 장비도 이전보다 훨씬 정교하고 복잡해 에어백 등을 사용한 기존 착륙 방법을 쓸 수 없었다.

이 때문에 1차로 낙하산, 2차로 로켓을 이용해 모선의 속도를 줄인 뒤 모선이 공중에서 줄에 매달린 탐사로봇을 지상에 내려놓는 복잡한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착륙 과정을 두고 ‘공포의 7분’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큐리오시티는 이제부터 약 2년 동안 화성에 생명체가 살았던 흔적이 있는지 살펴보고, 과거나 현재에 생명체가 발달한 만한 환경적 요인이 있었는지 찾아다니게 된다.

첨단 카메라 3대와 무선 분석장비 등 대량의 과학 장비를 싣고 화성 표면을 돌아다니며 2.1m 길이의 대형 로봇팔을 이용해 다양한 고도에서 암석과 토양 표본을 채취해 분석할 예정이다.

특히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는 작업에는 ‘SAM(Sample Analysis at Mars)’이 주축에 선다. 이 장비는 대부분의 유기 화합물을 생성하는 탄소 기반의 화합물질 등 생명에 필요한 요소들을 화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암석이나 토양에 레이저를 발사해 일부를 증발시키고 이를 분석하는 장비인 ‘CHEMCAM(Chemistry and Camera)’ 등이 활용될 전망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