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정부의 아프간 미군사령관 수난사

오바마 정부의 아프간 미군사령관 수난사

입력 2012-11-14 00:00
업데이트 2012-11-14 09: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8년 매키어넌부터 현재 앨런까지 4명 연속 구설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집권한 2008년부터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을 이끌었던 네 명의 사령관이 모두 구설수에 올랐다.

전략에 대한 시각 차이부터 스캔들에 이르기까지 논란이 된 이유도 제각각이다.

2009년 6월에는 전임 조지 부시 대통령이 임명했던 데이비드 매키어넌이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한 채 중도 하차했다.

국방장관의 건의를 받아 실시하는 형식이었지만, 실제로는 매키어넌의 전쟁 수행 방식과 오바마 대통령의 반군대응(counterinsurgency) 전략이 충돌했기 때문이었다.

매키어넌의 후임자 스탠리 매크리스털 역시 2010년 6월에 사실상 경질됐다.

형식은 자진 사퇴였으나, 한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오바마 대통령과의 첫 대면에서 실망을 느꼈다”고 말하는 등 정부 최고위층을 공개 비난해 파문을 일으킨데 따른 일이었다.

매크리스털의 뒤를 이은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는 전임자의 갑작스런 사직으로 빚어진 지휘 공백을 메우기 위해 1년만 일하겠다고 했고, 아프간 전장에서는 임무를 다했다.

하지만 전역 후 중앙정보국(CIA) 국장으로 일하면서 불륜 행각을 벌였고 최근 그 사실이 드러나면서 CIA 국장 자리를 내놓아야 했다.

퍼트레이어스로부터 아프간 미군의 지휘봉을 물려받은 존 앨런 역시 좋지 않은 일로 아프간을 떠날 처지에 놓였다.

13일(현지시간) 리언 패네타 미 국방장관은 앨런 사령관에 대한 국방부의 조사가 진행중이라고 발표했다.

국방부 관리들은 앨런 사령관이 퍼트레이어스 사건의 단초가 됐던 민간인 여성과 ‘부적절한 통신’을 주고받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군 아프리카사령부 초대 사령관 윌리엄 워드는 재직 중 저지른 비리 혐의가 인정되면서 대장에서 중장으로 강등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미군 고위 관계자들에 따르면 워드 전 사령관은 불필요하게 해외 출장 기간을 늘려 출장비를 ‘기하급수적’으로 부풀리고 아내의 쇼핑을 위해 군 차량을 마구 동원하는 등 독직 행위를 했다.

워드 전 사령관에 대한 조사는 17개월간 진행됐으며 이로 인해 지난해 4월로 예정됐던 워드 전 사령관의 전역도 늦춰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