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타오, 장쩌민式 ‘원로정치’ 어려울 듯

후진타오, 장쩌민式 ‘원로정치’ 어려울 듯

입력 2012-11-16 00:00
업데이트 2012-11-16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7기 정치국 상무위원 9명 가운데 5세대 지도부로 올라선 시진핑(習近平)과 리커창(李克强)을 제외하고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을 비롯한 나머지 7인은 18차 전국대표대회(전대) 선거가 이뤄진 지난 14일을 기점으로 당무에서 손을 뗐다. 사실상 퇴임한 것이지만 이번 18차 전국인민대표대회(전대) 주석단에서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이 후 주석에 이어 서열 2위에 거명되는 등 원로 정치가 활발한 중국의 정치 환경을 감안할 때 이들의 퇴임 후 활동에도 관심이 쏠린다.

일단 후 주석은 장 전 주석처럼 퇴임 후에도 일인자에 이은 실질적인 당 서열 2위로 공식행사에 참석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최고지도부 계파 분배에서도 태자당(당·군·정 원로 자제 그룹)과 상하이방(상하이 관료 출신)이 압도적 우위를 차지하는 등 후 주석의 영향력이 장 전 주석에게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후 주석의 비서출신인 천스쥐(陳世炬) 중앙군사위 판공청 주임이 전날 중앙위후보위원 진입에 실패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풀이되고 있다.

이와 상관없이 후 주석은 내년 3월 전대가 열릴 때까지 국가주석직과 국가 군사위원회 주석직을 수행한다.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우방궈(吳邦國) 전인대 상무위원장·자칭린(賈慶林) 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주석도 내년 3월까지 직무를 수행한다. 물론 당이 국가를 이끄는 특성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역할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선전을 담당했던 리창춘(李長春), 중앙기율위 서기였던 허궈창(賀國强), 당 정법위 상무위원이었던 저우융캉(周永康) 등 당직만 보유했던 인사들은 대외 활동 타이틀도 없다.

이런 가운데 허궈창이 튀임 후에도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뉘앙스의 발언으로 눈길을 끌고 있다.

그는 전대 마지막 날인 15일 자신의 고향인 후난(湖南) 대표들과의 간담회에서 “18차 전대를 끝으로 지도자 직책에서 물러난다.”면서 “은퇴를 하더라도 전처럼 고향의 발전을 위해 계속 공헌할 것이다.”라며 여운을 남겼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2012-11-16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