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한 시립공원 동물원이 개를 사자라고 우기며 전시하는 등 엉터리 운영을 해 논란이 되고 있다.
중국 동방금보는 15일 허난성 뤄허시 인민공원의 동물원이 가짜 사자와 이리 등을 전시하고 있다는 제보를 입수하고 직접 현장을 찾은 결과 ‘아프리카 사자’라는 푯말이 붙은 우리에 ‘티베트 매스티프’ 종인 짱아오가 있었다고 보도했다. 짱아오는 중국에서 주로 경비견으로 키워지고 있는 개로 용맹스러운 성격을 지녀 ‘사자개’라고도 불린다.
동물원 관리인은 “원래 있던 사자가 교배를 위해 다른 동물원에 갔다”는 궁색한 변명을 내놓았다고 신문은 전했다.
또 이리 전시관에서도 개가 짖는 소리가 들렸다고 한다. 관리인은 이에 대해서도 “이리와 개를 함께 기르는데 이리가 안쪽에 들어가 보이지 않는 것”이라는 엉뚱한 해명을 했다.
신문은 표범 전시관에도 여우로 보이는 동믈이 몇 마리 있었을 뿐이며 심지어 뱀 전시관에는 엉뚱한 해삼이 있었다고 전했다.
시 공원 담당자는 해명을 요구하는 기자에게 “몇 년 전부터 개인과 계약을 통해 동물원 운영권을 넘겼다”면서 “공원에서도 사육사들을 파견해 동물들을 나름대로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동물원은 당국의 요금 징수 허가도 받지 않고 멋대로 1인당 15위안(2700원)의 입장료를 받아온 것으로 드러났다.
신문은 최근 관광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중소 동물원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는 가운데 관리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중국 동방금보 캡처
중국 동방금보는 15일 허난성 뤄허시 인민공원의 동물원이 가짜 사자와 이리 등을 전시하고 있다는 제보를 입수하고 직접 현장을 찾은 결과 ‘아프리카 사자’라는 푯말이 붙은 우리에 ‘티베트 매스티프’ 종인 짱아오가 있었다고 보도했다. 짱아오는 중국에서 주로 경비견으로 키워지고 있는 개로 용맹스러운 성격을 지녀 ‘사자개’라고도 불린다.
동물원 관리인은 “원래 있던 사자가 교배를 위해 다른 동물원에 갔다”는 궁색한 변명을 내놓았다고 신문은 전했다.
또 이리 전시관에서도 개가 짖는 소리가 들렸다고 한다. 관리인은 이에 대해서도 “이리와 개를 함께 기르는데 이리가 안쪽에 들어가 보이지 않는 것”이라는 엉뚱한 해명을 했다.
신문은 표범 전시관에도 여우로 보이는 동믈이 몇 마리 있었을 뿐이며 심지어 뱀 전시관에는 엉뚱한 해삼이 있었다고 전했다.
시 공원 담당자는 해명을 요구하는 기자에게 “몇 년 전부터 개인과 계약을 통해 동물원 운영권을 넘겼다”면서 “공원에서도 사육사들을 파견해 동물들을 나름대로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동물원은 당국의 요금 징수 허가도 받지 않고 멋대로 1인당 15위안(2700원)의 입장료를 받아온 것으로 드러났다.
신문은 최근 관광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중소 동물원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는 가운데 관리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