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유람선사고, 세월호와 원인은 비슷 대응은 달라

中 유람선사고, 세월호와 원인은 비슷 대응은 달라

입력 2015-06-04 11:24
업데이트 2015-06-04 1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양한 방식 동원하며 실행 신속히…세월호 지켜본 ‘학습효과’도 있는 듯

중국 양쯔(揚子)강 유람선 침몰사고가 한국의 세월호 사고와 원인은 유사하지만 당국의 대응에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 당국은 사고발생 사흘째인 3일 밤 고심을 거듭한 끝에 전복된 ‘둥팡즈싱’(東方之星·동방의 별)의 수면 위로 드러난 선박 바닥에 가로 55㎝, 세로 60㎝ 크기의 구멍을 뚫고 잠수요원들을 투입했다.

침몰선을 직접 절단하는 방식은 선박 안에 남아 있는 공기층인 ‘에어포켓’으로 떠 있는 선박을 가라앉게 할 수 있어 구조를 기다리고 있을 수 있는 승객들에게 오히려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에도 강행에 나선 것이다.

중국 신화통신은 “사고 발생 48시간이 지난 뒤에야 절단 방식 구조에 나선 것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선박 고정 등 사전 절차가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당국은 앞서 대형 크레인선 2척을 현장에 대기시키고 침몰선과 와이어(철선)로 연결해 선박을 고정시켜 선박 절단시 선체가 가라앉는 현상에 대비했다. 부작용을 최소화 하려는 조치다.

이런 노력에도 생존자를 구하지는 못한 채 시신만을 추가로 수습하는데 그쳤지만, 접근지점 선박 내부 사정을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는 성과도 냈다.

당국은 잠수요원이 직접 수면 밑으로 선체에 접근하는 구조 방식을 계속 실시하면서 선체 자체를 세워서 인양하는 구조 방식도 검토하고 있다.

이처럼 구조를 위해 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동원하고 신속하게 실행에 옮기는 점은 세월호 침몰 당시 대응과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세월호 구조 당국은 당시 논란을 거듭하면서도 선체를 절단하거나 인양하는 방식을 실제 구조에 활용하지 못하고 잠수요원들의 직접 구조 방식을 고수했다.

이번 중국 유람선이 침몰한 장소가 수심이 얕은 하천인데 비해 세월호 침몰 지점은 서해 앞바다였다는 점 등 구조 여건이 상당히 달라 맞비교에 어려운 점이 있지만 대응방식에 차이는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

세월호 침몰사고 당시 한국은 안전행정부에 설치된 범정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사회재난의 총괄기능을 맡기고 있었으나 사고 발생 초기부터 늑장과 부실한 대응으로 ‘컨트롤타워’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중국 유람선 사고 발생 직후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국무원 중심의 사고 대책 강구’ 지시를 내린데 이어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신속하게 현장에 도착해 구조를 지휘하고 있는 점과 대비된다.

이같은 차이는 대형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중국이 1년가량 전에 이웃 나라인 한국에서 발생한 대형 선박 참사를 지켜본 ‘학습효과’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인터넷 매체 ‘BWCHINESE’는 전날 세월호 사고 당시 한국 당국이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명구조의 적기를 놓친 점을 교훈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중국 매체들은 앞서 유람선 선장이 사고가 발생한 직후 배를 버리고 먼저 탈출한 점과 사고 선박이 1994년 건조 이후 수차례 불법 개조된 점, 당국의 기상악화 경고에도 무리한 운항에 나선 점 등을 지적해 이번 사고가 ‘중국판 세월호 사고’가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