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가 인간의 생사를 결정할 수 있을까.” 기계가 스스로 적군을 파악하고 살상을 가할 수 있는 이른바 ‘킬러로봇’에 관한 논쟁이 유엔 무대로 옮겨진다고 AFP통신 등이 12일(현지시간) 전했다. 유엔 특정재래식무기금지협약(CCW)은 13~18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회의를 열고 킬러로봇에 대한 효용과 부작용에 대해 토의한다. 킬러로봇 논의가 유엔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늘부터 5일간 효용·부작용 토의
킬러로봇이란 전장에서 적군을 살상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인공지능(AI) 로봇을 뜻한다. 현재 미국과 영국, 러시아, 중국 등 세계 각국은 AI를 활용한 무인전투기와 살상용 전투로봇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미 해군의 무인함정 ‘시 헌터’, 미 보잉의 무인잠수정 ‘에코 보이저’, 러시아의 무인탱크 ‘MK 25’, 영국의 무인전투기 ‘타라니스’ 등이 대표적이다. 러시아에서는 사람 모양의 전투로봇 ‘이반 터미네이터’도 개발 중이다.
●미·러 등 개발 박차… 우려 목소리 커져
킬러로봇 개발이 가시화되자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시민단체 활동가들은 “킬러로봇이 독재자, 테러리스트 손에 들어가거나 해킹을 당하면 선량한 민간인들이 엄청난 피해를 입을 것”이라며 대형 참사가 빚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한다. 상당수 AI 전문가들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구글 딥마인드의 무스타파 술레이만 등 기업인 100여명은 지난 8월 킬러로봇을 금지해 달라고 유엔에 서한을 보냈다. 이번 유엔 회의에서는 킬러로봇을 금지하는 안을 논의하기보다는 킬러로봇의 유형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 토의에 초점을 맞출 전망이다. 회의를 주재하는 아만디프 길 인도 군축대사는 “이제 출발선에 섰을 뿐”이라며 “단칼에 금지하는 게 쉬운 처방이지만 매우 복잡한 문제의 결론을 바로 내리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고 밝혔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영화 ‘로보캅’에 등장하는 킬러로봇.
가디언 캡처
가디언 캡처
킬러로봇이란 전장에서 적군을 살상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인공지능(AI) 로봇을 뜻한다. 현재 미국과 영국, 러시아, 중국 등 세계 각국은 AI를 활용한 무인전투기와 살상용 전투로봇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미 해군의 무인함정 ‘시 헌터’, 미 보잉의 무인잠수정 ‘에코 보이저’, 러시아의 무인탱크 ‘MK 25’, 영국의 무인전투기 ‘타라니스’ 등이 대표적이다. 러시아에서는 사람 모양의 전투로봇 ‘이반 터미네이터’도 개발 중이다.
●미·러 등 개발 박차… 우려 목소리 커져
킬러로봇 개발이 가시화되자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시민단체 활동가들은 “킬러로봇이 독재자, 테러리스트 손에 들어가거나 해킹을 당하면 선량한 민간인들이 엄청난 피해를 입을 것”이라며 대형 참사가 빚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한다. 상당수 AI 전문가들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구글 딥마인드의 무스타파 술레이만 등 기업인 100여명은 지난 8월 킬러로봇을 금지해 달라고 유엔에 서한을 보냈다. 이번 유엔 회의에서는 킬러로봇을 금지하는 안을 논의하기보다는 킬러로봇의 유형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초점을 둔 토의에 초점을 맞출 전망이다. 회의를 주재하는 아만디프 길 인도 군축대사는 “이제 출발선에 섰을 뿐”이라며 “단칼에 금지하는 게 쉬운 처방이지만 매우 복잡한 문제의 결론을 바로 내리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고 밝혔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7-11-1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