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BM급 미사일 53분간 1000㎞ 비행…고각 발사로 고도 4000㎞ 훨씬 넘어”
북한이 29일 새벽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고각 발사로 4000㎞를 훨씬 넘는 고도까지 날아가 역대 최장 사거리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일본 정부가 발표했다. 고각 발사는 80~90도 사이의 거의 직각 수준으로 미사일을 발사해 되도록 멀리 보내는 것으로 요격을 피하는 동시에 대기권을 뚫고 더 멀리 날아가 목표물을 빠르게 타격할 수 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새벽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이 오전 3시 18분쯤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한 발이 동해 상 일본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낙하했다“고 밝혔다.
스가 장관은 ”북한의 반복되는 도발 행위를 결코 용인할 수 없다”며 “북한에 대해 엄중하게 항의할 것“고 비판했다.
오노데라 이쓰노리 방위상은 북한이 이날 발사한 미사일의 사거리가 역대 최장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미사일이 다단계 방식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오노데라 방위상은 ”북한 미사일이 발사 뒤 53분간 비상해 오전 4시 11분쯤 아오모리현 서쪽 방향 250㎞ 지점의 일본 EEZ에 낙하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발사된 미사일은 ICBM급으로, 고각 궤도로 발사된 것으로 보인다“며 ”미사일은 4000㎞를 훨씬 넘는 역대 최고 고도에 도달했으며 수평 방향으로는 960㎞를 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탄도 미사일이 다단계 방식의 미사일이었을 가능성이 있다“며 ”기존 미사일의 개량형인지, 새로운 미사일인지는 추후 분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에 대해 파괴조치를 취하지 않았으며 전국순간경보시스템(J얼럿)이나 엠넷(긴급정보네트워크시스템)을 통해 국민들에게 속보를 전달하지도 않았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는 미사일이 일본 영토·영해에 떨어지거나 상공을 통과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오전 6시를 조금 넘긴 시간에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어 정보 수집과 대응 방안을 협의하고 국제사회와 연대를 강화해 강고한 대응을 취하기로 했다.
아베 총리는 NSC 참석 전 ”평화적 해결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의지를 짓밟고 폭거를 행한 것을 결코 용인할 수 없다“며 ”북한에 엄중히 항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어떠한 도발 행위에도 굴하지 않고 압력을 최대한 높여갈 것“이라며 ”국제사회가 단결해 (대북) 제재를 완전히 이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스가 장관은 이날 NSC 후 기자회견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추가적인 제재 강화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일본 방송과 통신 역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 관련 기사를 신속하게 전했다.
NHK는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이 3개로 확인됐다며 이 중 가장 일본에 가깝게 낙하한 것은 아오모리현 규로쿠지마 서쪽 210㎞ EEZ로 추정되는 곳에 떨어졌다고 보도했다.
NHK는 ”북한이 두 달 반 만에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9년 만에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며 압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라며 ”핵·미사일 개발에 한층 박차를 가하겠다는 자세를 보인 것“이라고 분석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북한이 29일 새벽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고각 발사로 4000㎞를 훨씬 넘는 고도까지 날아가 역대 최장 사거리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일본 정부가 발표했다. 고각 발사는 80~90도 사이의 거의 직각 수준으로 미사일을 발사해 되도록 멀리 보내는 것으로 요격을 피하는 동시에 대기권을 뚫고 더 멀리 날아가 목표물을 빠르게 타격할 수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스가 장관은 ”북한의 반복되는 도발 행위를 결코 용인할 수 없다”며 “북한에 대해 엄중하게 항의할 것“고 비판했다.
오노데라 이쓰노리 방위상은 북한이 이날 발사한 미사일의 사거리가 역대 최장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미사일이 다단계 방식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오노데라 방위상은 ”북한 미사일이 발사 뒤 53분간 비상해 오전 4시 11분쯤 아오모리현 서쪽 방향 250㎞ 지점의 일본 EEZ에 낙하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발사된 미사일은 ICBM급으로, 고각 궤도로 발사된 것으로 보인다“며 ”미사일은 4000㎞를 훨씬 넘는 역대 최고 고도에 도달했으며 수평 방향으로는 960㎞를 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탄도 미사일이 다단계 방식의 미사일이었을 가능성이 있다“며 ”기존 미사일의 개량형인지, 새로운 미사일인지는 추후 분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에 대해 파괴조치를 취하지 않았으며 전국순간경보시스템(J얼럿)이나 엠넷(긴급정보네트워크시스템)을 통해 국민들에게 속보를 전달하지도 않았다.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는 미사일이 일본 영토·영해에 떨어지거나 상공을 통과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북한 미사일 발사소식 전하는 NHK
일본 NHK방송이 29일 오전 북한의 미사일 발사 소식을 전하고 있다.
2017-11-29
도쿄= 연합뉴스
2017-11-29
도쿄= 연합뉴스
아베 총리는 NSC 참석 전 ”평화적 해결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의지를 짓밟고 폭거를 행한 것을 결코 용인할 수 없다“며 ”북한에 엄중히 항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어떠한 도발 행위에도 굴하지 않고 압력을 최대한 높여갈 것“이라며 ”국제사회가 단결해 (대북) 제재를 완전히 이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스가 장관은 이날 NSC 후 기자회견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추가적인 제재 강화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일본 방송과 통신 역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 관련 기사를 신속하게 전했다.
NHK는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이 3개로 확인됐다며 이 중 가장 일본에 가깝게 낙하한 것은 아오모리현 규로쿠지마 서쪽 210㎞ EEZ로 추정되는 곳에 떨어졌다고 보도했다.
NHK는 ”북한이 두 달 반 만에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9년 만에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며 압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라며 ”핵·미사일 개발에 한층 박차를 가하겠다는 자세를 보인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미국 수도를 염두에 두었을 것이라는 취지의 워싱턴포트의 28일(현지시간) 인터넷판 기사 제목.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