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사회에서 대북 압력이 한층 강화하면서 북한 내에서 동요가 확산하고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복수의 북한 소식통을 인용해 30일 보도했다.
아사히는 이날 서울발 기사에서 최근 1개월 사이 중국에 의한 본격적 경제 제재 여파로 중국제품이 부족해지면서 가격이 4~5배 오르는 식료품과 소비재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세관은 기존에는 수출입 심사를 서류검사로 끝냈지만, 이제는 현물 점검 방식을 개시했으며 이로 인해 중국의 제재 대상 물품에 대한 수출입이 어려워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은 북한 경비대가 과거 중국과의 밀무역으로 외화를 벌었지만, 중국 측의 단속 강화로 이는 거의 불가능한 상태가 됐다고 전했다.
일부 시장에선 상인들이 “핵무기만이 문제 해결의 답은 아니다”, “제2의 고난의 행군”이라며 항의하다 국가보위성에 체포되는 사건도 일어났다는 미확인 정보도 있다고 아사히는 소개했다.
신문은 지난 9월부터는 고위 간부의 차량 이외에는 주유소에서 급유를 중단했다며 “평양 시내를 달리는 택시 90%가 영업 중단에 내몰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북한 고위 간부 사이에선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바란다거나 미국과의 군사충돌을 두려워하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아사히는 이날 서울발 기사에서 최근 1개월 사이 중국에 의한 본격적 경제 제재 여파로 중국제품이 부족해지면서 가격이 4~5배 오르는 식료품과 소비재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세관은 기존에는 수출입 심사를 서류검사로 끝냈지만, 이제는 현물 점검 방식을 개시했으며 이로 인해 중국의 제재 대상 물품에 대한 수출입이 어려워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은 북한 경비대가 과거 중국과의 밀무역으로 외화를 벌었지만, 중국 측의 단속 강화로 이는 거의 불가능한 상태가 됐다고 전했다.
일부 시장에선 상인들이 “핵무기만이 문제 해결의 답은 아니다”, “제2의 고난의 행군”이라며 항의하다 국가보위성에 체포되는 사건도 일어났다는 미확인 정보도 있다고 아사히는 소개했다.
신문은 지난 9월부터는 고위 간부의 차량 이외에는 주유소에서 급유를 중단했다며 “평양 시내를 달리는 택시 90%가 영업 중단에 내몰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북한 고위 간부 사이에선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바란다거나 미국과의 군사충돌을 두려워하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