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후 3개월째 단 한 번도 브리핑 안하는 백악관 대변인

취임 후 3개월째 단 한 번도 브리핑 안하는 백악관 대변인

한준규 기자
입력 2019-09-24 14:52
업데이트 2019-09-24 14: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분간 브리핑 안 할 예정

스테파니 그리셤 미국 백악관 대변인
스테파니 그리셤 미국 백악관 대변인 연합뉴스
23일(현지시간) 폭스뉴스에 ‘백악관의 전통인 정례 대(對)언론 브리핑이 당분간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셤 대변인은 지난 6월 말 임명돼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과 판문점 회동 등을 곧바로 수행했으나 지금껏 백악관 브리핑룸에서 하는 공식 브리핑을 한 번도 하지 않았다.

그리셤 대변인은 이날 ‘백악관에서 매일 하던 정례 브리핑을 재개할 것이냐’는 질문에 “지금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브리핑이) 우리가 해야 할 일이라고 판단한다면 우리는 그렇게 할 수 있다”라면서 “그러나 지금 그(트럼프 대통령)가 잘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평소 직접 말하거나 트위터를 통해 의견을 전하고 있어 언론 브리핑이 따로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기자들과 질의 응답, 그리고 트위터로 각종 의견을 밝히고 있다.

그리셤 대변인은 또 “눈길을 끌고자 하는 많은 기자들이 (브리핑을) 자신이 유명해지기 위한 수단으로 쓴다고 본다”고 지적하며 언론과 각을 세웠다. 백악관 출입기자들은 대변인 혹은 정부 인사들과 잦은 설전을 벌여왔다. 짐 아코스타 CNN 백악관 출입기자는 트럼프 대통령과 언쟁을 벌이다가 출입 금지를 당한 뒤 이런 내용이 들어있는 책을 쓰기도 했는데 이를 겨냥한 발언으로 보인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