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공황 이후 인구증가 최저… 러스트벨트에서 선벨트로 ‘축 이동’

美 대공황 이후 인구증가 최저… 러스트벨트에서 선벨트로 ‘축 이동’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1-04-27 13:38
업데이트 2021-04-27 13: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년 인구증가율 7.4%로 1940년 이래 최저치
잠시 주춤했던 대공황과 달리 추세적 증가율 저하
북부 러스트벨트 증가율 낮고 남부 선벨트는 높아
텍사스 ‘+2석’ 등 하원의석수 변화 예고에 이목
지난해 12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전경. 2020년 인구증가율이 낮아지면서 캘리포니아에서 처음으로 하원의석 수 1석 감소가 예상된다. AP
지난해 12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전경. 2020년 인구증가율이 낮아지면서 캘리포니아에서 처음으로 하원의석 수 1석 감소가 예상된다. AP
지난해 미국 인구 증가율이 대공황이었던 1930년대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가운데, 북부 러스트벨트 인구 증가율은 떨어지고 남부 선벨트 인구 증가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중간선거와 2024년 차기 대선을 앞두고 정치 지형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어 이목이 쏠린다.

폴리티코, 워싱턴포스트 등 미 언론은 지난해 4월 1일 기준으로 미국 인구가 3억 3144만 9281명으로 10년전보다 7.4% 증가했다고 26일(현지시간) 일제히 전했다. 1790년 조사 시작 이래 10년 단위로 볼때 1930년대 대공황 이후인 1940년에 7.3% 증가율을 기록한 것에 이어 2번째로 낮다. 이번을 제외하면 1940년 이후 가장 낮았을 때가 9.7%였다.

1940년의 낮은 인구 증가율은 대공황과 당시 진행 중이던 세계 2차대전 등이 원인이었다. 1930년과 1950년 조사에서 각각 16.2%와 14.5%의 높은 인구 증가율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1940년 조사는 단기적인 정체로 평가됐다.

반면 최근 인구 증가율 둔화는 장기적인 추세로 분석된다. 2000년 13.2%, 2010년 9.7%, 2020년 7.4%로 하향 추세가 이어졌다. 백인 인구의 고령화가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코로나19 등으로 이어지는 경기 침체, 이민규제 강화 기조로 인한 이민자 감소 역시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의 출산율은 1.73명으로 세계 평균(2.4명)에 못 미친다.
미국 인구조사국에서 지난해 인구 수를 보여준 이미지 화면. AP
미국 인구조사국에서 지난해 인구 수를 보여준 이미지 화면. AP
인구가 가장 많은 주는 캘리포니아(3953만명)였지만 이 곳의 인구증가율은 6.1%로 평균에 못 미쳤다. 비싼 집값 등으로 인근 지역으로 이주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주는 멀지 않은 유타(18.4%), 아이다호(17.3%), 텍사스(15.9%) 등이었다.

이런 변화로 435명이 배정되는 하원 의석은 변동이 예상된다. 텍사스주의 연방하원 의석이 2석 늘고 플로리다, 노스캐롤라이나, 콜로라도, 몬태나, 오리건 등 5개주는 1석씩 증가한다. 이들 중 지난해 대선 때 트럼프가 이긴 곳이 4곳이다.

반면 뉴욕, 캘리포니아, 일리노이, 미시간, 오하이오, 펜실베이니아, 웨스트버지니아 등 7개 주는 하원 의석을 1석씩 잃는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이들 중 5개주에서 승리했다.

지난해 대선에서 민주당이 ‘푸른 벽’을 세운 북부의 쇠락한 공업지대 ‘러스트 벨트’의 의석이 줄고 공화당이 강세를 보이는 남부 ‘선벨트’의 의석이 늘어나는 모양새다. 하지만 민주당 텃밭인 캘리포니아의 인구가 분산된 효과도 크기 때문에 외려 남부 선벨트에서 민주당의 표심이 다져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