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쾅”…러軍 ‘우크라 대통령실 타격’ 경고 후 크림·모스크바 기습

“쾅”…러軍 ‘우크라 대통령실 타격’ 경고 후 크림·모스크바 기습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3-06-21 18:59
업데이트 2023-06-21 2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1일(현지시간) 세르히 브라추크 우크라이나 오데사 지방군사령부 대변인이 크림반도 흑해 연안의 페오도시야의 철로에서 폭발이 발생했다며 공개한 동영상 일부. 2023.6.21 브라추크 텔레그램
21일(현지시간) 세르히 브라추크 우크라이나 오데사 지방군사령부 대변인이 크림반도 흑해 연안의 페오도시야의 철로에서 폭발이 발생했다며 공개한 동영상 일부. 2023.6.21 브라추크 텔레그램
이미지 확대
21일(현지시간) 세르히 브라추크 우크라이나 오데사 지방군사령부 대변인이 크림반도 흑해 연안의 페오도시야의 철로에서 폭발이 발생했다며 공개한 동영상 일부. 2023.6.21 브라추크 텔레그램
21일(현지시간) 세르히 브라추크 우크라이나 오데사 지방군사령부 대변인이 크림반도 흑해 연안의 페오도시야의 철로에서 폭발이 발생했다며 공개한 동영상 일부. 2023.6.21 브라추크 텔레그램
우크라이나가 크림반도를 실제 공격할 경우 대통령실을 타격하겠다는 취지의 러시아 경고가 나온 뒤 크림반도와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 인근에서 기습이 발생했다.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채널24와 러시아 매체 RT에 따르면 이날 크림반도 흑해 연안의 페오도시야와 모스크바 남서쪽 외곽 모스크바주 나로포민스크에 대한 공격이 있었다.

러시아가 임명한 크림자치공화국 행정수반 세르게이 악쇼노프는 이날 오전 8시 30분쯤 성명에서 “페오도시야 철로 손상으로 출근길 열차 운행이 취소됐다”고 알렸다.

악쇼노프에 따르면 선로는 곧 복구됐고 10시 40분 열차 운행도 재개됐다. 다만 철로 손상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후 세르히 브라추크 우크라이나 오데사 지방군사령부 대변인은 “러시아가 일시 점령한 크림반도 페오도시야에서 ‘목화’의 성장을 확인했다”며 철로 폭파 순간이 담긴 동영상을 공개했다.

현 전쟁 상황에서 ‘목화’란 ‘폭발’을 의미한다. 개전 초기 ‘팝’(소리)을 뜻하는 러시아어 단어가 ‘목화’를 뜻하는 우크라이나 단어와 발음이 유사해 쓰이기 시작했다.

러시아 쪽에서도 페오도시야 철로 손상은 우크라이나 ‘사보타주’(파괴공작)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모스크바 또 드론 기습…“우크라의 테러”

이미지 확대
안드레이 보로비요프 러시아 모스크바 주지사는 21일(현지시간) 모스크바 남서쪽 외곽 나로포민스크 칼리니네츠 마을의 군부대 창고로 접근하던 무인기 2대가 추락했다며 관련 사진을 공유했다. 2023.6.21 보로비요프 텔레그램
안드레이 보로비요프 러시아 모스크바 주지사는 21일(현지시간) 모스크바 남서쪽 외곽 나로포민스크 칼리니네츠 마을의 군부대 창고로 접근하던 무인기 2대가 추락했다며 관련 사진을 공유했다. 2023.6.21 보로비요프 텔레그램
같은 날 오전 5시 30분쯤, 이번엔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 일대에서 폭발음이 일었다.

안드레이 보로비요프 모스크바 주지사는 오전 7시 30분 성명에서 “오전 5시 30분과 5시 50분쯤 모스크바 남서쪽 외곽 나로포민스크 칼리니네츠 마을의 군부대 창고로 접근하던 무인기 2대가 추락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인명피해는 없었으며, 파편이 수거됐다. 특수부대가 검문 중이며 현장은 봉쇄됐다”며 “주민들은 침착을 유지해달라”고 요청했다.

이후 러시아 선전채널 ‘작전Z’는 칼리니네츠 마을 상공을 가로지르는 드론의 모습을 공개했고, 또 다른 채널은 모스크바 외곽 트로이츠키 루키노 마을 상공에서 드론 한 대가 폭발했다고 전했다.

현지 주민은 RT에 “차를 몰고 가는데 갑자기 ‘쾅’하는 폭발음이 들렸다. 그리곤 뭔가 번쩍했다”고 증언했다.
이미지 확대
21일(현지시간) 러시아 선전채널 ‘작전Z’가 모스크바 남서쪽 외곽 나로포민스크 칼리니네츠 마을 상공을 가로지르는 드론의 모습을 공개했다. 2023.6.21 작전Z
21일(현지시간) 러시아 선전채널 ‘작전Z’가 모스크바 남서쪽 외곽 나로포민스크 칼리니네츠 마을 상공을 가로지르는 드론의 모습을 공개했다. 2023.6.21 작전Z
불안이 확산하자 러시아 국방부는 오전 9시 30분쯤 “우크라이나의 드론 테러는 좌절됐다”고 발표했다.

러시아 국방부는 “오늘 드론 3대로 모스크바 지역의 물체를 공격하려던 키예프 정권의 시도가 좌절됐다. 모든 드론은 방공·전자전에 의해 억제됐으며 통제력을 잃고 추락했다. 테러는 실패했고 그에 따른 인명피해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전에도 크림반도와 모스크바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위협은 여러 번 있었다. 5월 30일 약 25대의 드론이 모스크바 일대에 출현해 주거용 건물 2채가 파손됐으며, 1명이 부상했다. 같은달 2일에는 드론 2대가 크렘린궁 공격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번 기습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대통령실 타격을 경고한 직후 발생했다는 점에서 주목다.

앞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20일 국방부 자문위원회 회의에서, 우크라이나가 장거리 미사일로 크림반도를 공격할 것이라는 정보를 입수했다며 실제 공격시 보복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러, 크림반도 위협에 ‘우크라 대통령실 타격’ 맞불 경고

이미지 확대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20일(현지시간) 국방부 자문위원회 회의에서 개회사를 읽고 있다. 2023.6.20 러시아 국방부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20일(현지시간) 국방부 자문위원회 회의에서 개회사를 읽고 있다. 2023.6.20 러시아 국방부
쇼이구 장관은 “우리 정보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군 수뇌부가 크림반도 등 러시아 영토를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 및 스톰섀도 미사일로 공격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들 미사일을 ‘특별군사작전’(우크라이나 침공을 러시아가 공식적으로 일컫는 용어) 지역 밖에 사용하는 것은 미국과 영국이 전쟁에 전면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뜻한다”며 “우크라이나 지휘부에 대한 즉각적인 보복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서방에서는 쇼이구 장관이 ‘의사결정기구에 대한 즉각적 타격’을 언급한 것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실을 위협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의사결정기구에 우크라이나 대통령실과 정보기관 본부가 포함된 것으로 분석했다.

쇼이구 장관은 다만 우크라이나가 미사일로 크림반도를 칠 준비를 하고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우크라이나 당국과 군도 사전에 군사 계획을 공개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이다.

러시아는 2014년 강제 합병한 크림반도를 자국 영토로 간주한다. 반면 우크라이나는 이번 전쟁을 통해 작년 러시아의 침공 이후 빼앗긴 점령지뿐만 아니라 크림반도까지 되찾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러시아 국방부의 경고가 실제 우크라이나의 크림반도 공격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우크라, 크림반도 공격 임박했나

이미지 확대
8일(현지시간) 트럭 폭탄 폭발로 화염에 휩싸인 러시아 크림대교에서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다. 2022.10.8 AP 연합뉴스
8일(현지시간) 트럭 폭탄 폭발로 화염에 휩싸인 러시아 크림대교에서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다. 2022.10.8 AP 연합뉴스
지난 4일 ‘영토의 완전성 회복’을 위한 반격에 돌입한 우크라이나는 현재 루한스크주 및 바흐무트의 동부, 도네츠크주 남부, 자포리자주 남부 등 세 개 축선을 중심으로 반격 중이다.

이 중에서도 자포리자 전선은 크림반도 탈환을 좌우할 핵심으로 꼽힌다. 자포리자 전선에서 공세에 성공하면 러시아군을 헤르손주 서쪽에 가둬둘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크림반도의 관문 역할을 하는 멜리토폴을 차지한다면 전쟁 유지에 큰 역할을 하는 크림반도를 고립시킬 수 있다.

크림반도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성지’로 여길 정도로 상징성이 있는 곳일 뿐만 아니라 흑해함대 기지이자 안전후방이다.

러시아군은 2014년 병합한 점령지 크림반도를 작년 2월 개전 후 점령지 보호와 침공을 떠받치는 보급선으로 활용해왔다.

멜리토폴 등 자포리자의 주요 도시를 사정거리 안에 두기만 해도 우크라이나군은 전황을 크게 바꿀 기회를 얻는다.

‘크림반도 길목’ 멜리토폴 변수…자포리자 결전

이미지 확대
구글맵 자료
구글맵 자료
이와 관련해 영국 일간 더 타임스는 “우크라이나군이 크림반도를 고립시키기 위해 멜리토폴과 베르댠스크까지 진격하려고 노력할 것”으로 전망했다.

더 타임스는 우크라이나군이 바다에 도달하면 러시아군을 자포리자와 크림반도 사이에 고립시킬 수 있고, 서쪽으로 더 진격해 아조우해를 따라 포탄과 미사일을 배치해 크림반도를 사정거리 안에 둘 수 있다고 예상했다.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의 마이클 클라크 전쟁학과 교수는 “우크라이나군이 그 경로를 택해 멜리토폴과 베르댠스크 인근 아조우해까지 도달하고 크림반도의 육로를 차단하려고 자포리자를 통해 남쪽을 공격하려는 것으로 보이지만, 동쪽의 마리우폴 항구로 가기 위한 속임수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관측되는 시나리오를 시행하려면 러시아의 핵심 보급 거점인 토크마크를 점령해야 하는데, 이는 우크라이나가 아주 자신 있거나 무모하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망은 ‘안갯속’…결과 오래 기다려봐야 할 전투

이미지 확대
미국 싱크탱크 전쟁연구소(ISW)의 20일자 우크라이나 전황 보고서.
미국 싱크탱크 전쟁연구소(ISW)의 20일자 우크라이나 전황 보고서.
다만 우크라이나군이 멜리토폴로 진격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우크라이나 동맹국들의 시뮬레이션 결과 우크라이나가 멜리토폴로 진격했다가는 러시아군에 측면 공격이나 장거리 공대지 활공폭탄 공격을 받을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유로 일각에서는 우크라이나의 대반격을 비관적으로 바라보기도 한다.

핀란드 분석가 에밀 마스테헬미는 “공격이 다소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며 “현재로서 우크라이나에 좋은 상황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의 군 소식통은 “상황은 괜찮다”면서도 계획대로 공격이 진행되려면 더 많은 포탄 시스템과 공격 드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국 해군분석센터(CNA)의 러시아 연구책임자 마이클 코프먼은 “아직 판단하기는 이르다”며 인내심을 갖고 지켜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우크라 창이냐 러 방패냐

이미지 확대
UKRAINE-CRISIS/COUNTEROFFENSIVE
UKRAINE-CRISIS/COUNTEROFFENSIVE 11일(현지시간) 미국 지구관측위성 제작기업 카펠라 스페이스가 공개한 위성 이미지에 우크라이나 자포리자주 노보페도리우카의 참호 작전이 담겨 있다. 2023.4.11 로이터 연합뉴스
러시아군도 자포리자의 가치를 잘 이해하고 있다.

드론·위성 사진을 보면 러시아는 자포리자 토크마크 북부에 참호, 지뢰밭 등 30㎞에 이르는 방어선을 치밀하게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군은 또 헤르손에 주둔하던 병력을 자포리자로 이동시키기 시작했다.

19일 우크라이나군이 통제 중인 자포리자 지역의 멜리토폴 시장 이반 페도로프는 러시아군이 헤르손주의 노바카호우카와 카호우카에서 멜리토폴을 거쳐 자포리자주 전선으로 병력을 옮기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날 영국 국방부도 우크라이나전 관련 정보 평가에서 러시아가 지난 10일 동안 자포리자와 동부 도네츠크주 바흐무트 전선을 강화하기 위해 드니프로강 동안에 있던 드니프로집단군 전력을 재배치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

일단 우크라이나군은 멜리토폴 차지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일 한나 말랴르 우크라이나 국방부 차관은 “베르댠스크와 멜리토폴 방향에서 2주 동안 공세에서 8개 정착지를 해방했다”며 노보다리우카, 레바드네, 스토로즈헤베, 마카리우카, 블라호다트네, 로브코베, 네스쿠치네, 피야티핫키를 언급했다.

러시아의 블로거들도 지난 주말 우크라이나가 퍄티하트카 마을을 탈환한 멜리토폴 북쪽 주 전선 지역에서 전투가 계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러시아 보안국 출신 블로거인 이고르 스트렐코프는 “멜리토폴 방면에서 퍄티하트카를 점령한 적군이 다음 마을을 점령하려 시도중이다. 치열한 전투가 계속 중”이라고 썼다.
권윤희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