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 배후의 북한…150만발 지원 포탄 절반은 불량품

우크라이나 전쟁 배후의 북한…150만발 지원 포탄 절반은 불량품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4-02-28 16:43
업데이트 2024-02-28 16: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한국에 155㎜ 탄약 우크라이나 지원 강조
무기 부족 우크라이나 “북한 포탄 절반은 불량품”

이미지 확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왼쪽)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만나 환담하며 걸어가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에 있는 자국 전쟁 포로 송환 문제 등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야드 AFP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왼쪽)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만나 환담하며 걸어가고 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에 있는 자국 전쟁 포로 송환 문제 등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야드 AFP 연합뉴스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한국이 더 많은 국방물자를 지원해야 한다고 밝힌 가운데, 북한이 러시아에 제공한 포탄의 절반이 불량품이란 주장이 나왔다.

유리 김 국무부 유럽 및 유라시아 담당 수석 부차관보는 26일(현지시간) 한미연구소(ICAS)가 주최한 온라인 심포지엄에서 “한국은 러시아 침공에 맞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50여개국 연합의 일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가장 필요한 것은 155㎜ 탄약이다. 최전선의 우크라이나 군인들은 하루에 15~20발의 탄약만 갖고 있다고 보고되는 상황”이라며 “러시아는 좋은 공급망을 갖고 있고, 북한뿐만 아니라 이란과도 더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은 그동안 비살상 무기만 지원한다는 원칙 아래 전투 식량, 방탄복, 지뢰 제거 장비, 긴급 후송차량 등 군수물자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했고, 탄약은 주한미국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우회 지원’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이 러시아에 제공한 포탄의 절반 이상이 불량이라고 밝혔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27일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국방정보국(GUR) 바딤 스키비츠키 부국장은 지난 23일 현지 매체 인테르팍스-우크라이나와 인터뷰에서 “통계 자료를 보면 러시아는 이미 북한으로부터 150만 발의 탄약을 수입했다”며 “70~80년대 만들어진 것들로, 절반 이상이 작동하지 않거나 사용 전 복원이나 검사가 필요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우크라이나 병사가 27일 도네츠크 지역에서 최근 러시아군이 점령 선언을 한 아우디우카를 향해 105㎜ 포를 발사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병사가 27일 도네츠크 지역에서 최근 러시아군이 점령 선언을 한 아우디우카를 향해 105㎜ 포를 발사하고 있다. EPA 연합뉴스
북한은 러시아에 오래된 군수품을 제공하는 대가로 미사일과 잠수함에 필요한 기술을 요구했다고 스키비츠키 부국장은 설명했다.

그는 또 “북한은 핵무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기술도 러시아에 요구하고 있다”며 “이는 이미 최고조에 달한 한반도 긴장을 더욱 증폭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12월에도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받은 탄약의 상태가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에 러시아군의 대포와 박격포가 터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러시아는 하루 1만 발의 포탄을 사용하는 반면 우크라이나는 5분의 1에 불과한 2000발 정도밖에 쏘지 못하는 등 무기고에 시달리고 있다.

영국 싱크탱크인 왕립연합군연구소는 러시아 당국이 연간 200만 발의 포탄을 생산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중국과 독일, 대만 등지에서 원자재를 수입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무연 화약의 핵심 성분인 니트로셀룰로오스는 약 20%가 대만에서 공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에서 생산된 니트로셀룰로오스는 튀르키예 등 다른 나라를 거쳐 러시아로 유입된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윤창수 전문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