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 ‘은행-증권 분리법’ 부활 추진

미국 상원 ‘은행-증권 분리법’ 부활 추진

입력 2013-07-12 00:00
업데이트 2013-07-12 08: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메가뱅크 폐해 차단 취지…법안처리 난망

미국 상원에서 과거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업무를 엄격하게 분리한 이른바 ‘글래스-스티걸법’의 부활이 추진되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미국 의회에 따르면 소비자운동의 기수로 지난해말 총선에서 상원의원에 당선된 엘리자베스 워런(민주ㆍ매사추세츠) 의원은 최근 ‘21세기 글래스-스티걸법’을 발의했다.

대공황의 원인 가운데 하나가 상업은행이 고객 자산을 이용해 무분별한 투기에 나섰기 때문이라는 지적에 따라 지난 1933년 제정된 ‘글래스-스티걸법’은 상업은행은 여·수신 업무만 하고, 투자은행은 증권 업무만 하도록 규정했다.

그러나 1999년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 금융산업 경쟁력 강화 추진과 대형 상업은행의 로비가 맞물리면서 이 법은 폐지됐다.

워런 의원은 법안 제안문에서 “4대 대형은행의 규모는 5년 전보다 30%나 커졌고, 이들은 위험도가 높은 (투자) 관행을 계속하면서 우리 경제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법은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의 보증을 받는 상업은행들이 투자은행 업무, 보험, 스와프, 헤지펀드 등을 하지 못하도록 규정한다. 법 통과 뒤 5년간의 준비기간을 두되 이후에는 위반 은행에 대해 벌금을 물리도록 했다.

이른바 ‘메가뱅크’의 폐해를 차단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는 이 법에는 존 매케인(공화ㆍ애리조나), 마리아 캔트웰(민주ㆍ워싱턴), 앵거스 킹(무소속ㆍ메인) 상원의원 등이 지지 서명을 했다.

특히 매케인 의원은 지난 1999년 ‘글러스-스티걸법’을 폐기한 ‘그램-리치-블라일리법’에 찬성표를 던졌으나 이번에 반대편으로 돌아섰다.

미국 언론은 이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대형은행들의 도덕적 해이에 대한 논쟁을 촉발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