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정상회담 이모저모
백악관 “VPN 장비 챙겨 갔다”일각 “中이 열어줬을 것” 주장
톈안먼 통째로 비워 ‘황제 의전’
中 가정식 요리로 ‘검소한 만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는 중국서도 가동됐다.’
많은 일화 속에서 네티즌의 강력한 시선을 끈 뉴스다. 중국은 자국민들에게 트위터, 페이스북 등 외국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접속을 차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환대에 대한 감사 트윗과 대북 압박 메시지를 담은 트윗, 자신의 당선 1주년 자축 트윗 등 연달아 트윗 4개를 올렸다.
앞서 백악관의 한 관계자는 서울발 베이징행 비행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가 원할 때마다 트윗을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이 중국 방화벽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특수한 장비’를 순방 수행단이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이 장비가 무엇인지는 설명하지는 않았다. 가상사설망(VPN)을 통하면 만리방화벽을 우회해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는 장비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해외 언론과 일부 중국 네티즌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를 쓸 수 있도록 중국 당국이 방화벽을 열어 줬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정부는 다양한 고위급 외국인 인사들에게 트위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왔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트윗을 원한다면 누구도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등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인터넷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을 굉장히 불편해하기 때문에 중국 관리들이 방화벽 해제 조치를 한 것 같다’는 의견이 올라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방문 일정을 담은 1분짜리 영상도 올려 “북한은 과거 미국의 자제를 약점으로 해석했다. 이것은 치명적인 오판일 것이다. 우리를 과소평가하지 마라. 미국을 시험하지 마라”고 재차 강하게 북한을 압박하기도 했다.
트위터 사용을 능가하는 ‘황제 의전’은 9일에도 계속됐다. 베이징의 심장부인 톈안먼 광장, 인민대회당, 마오쩌둥기념관 등 톈안먼 일대를 통째로 비워 놓고 환영 행사를 열었다. 중국 정부는 주변 빌딩의 창문도 열지 못하게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톈안먼 광장에서 의장대 사열을 한 뒤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오늘 아침 의장대 환영식은 참으로 감명 깊었다”고 극찬했다. “전 세계가 지켜봤다. 벌써 봤다며 세계 각지에서 전화가 걸려 오더라”라며 “이처럼 아름다운 것은 없을 것”이라고 만족을 표했다. 청와대에서 열린 군악대 및 전통악대의 환영행사 때도 트위터에 환영식 동영상을 올리고 “아름다운 환영식”이라며 “언제나 기억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인민대회당 진써다팅에서 열린 환영 국빈 만찬 식단에는 중국 가정식 요리인 궁바오지딩(宮保鷄丁)이 올랐다. 궁바오지딩은 달짝지근하면서 매콤한 맛이 나 외국인 입맛에도 잘 맞는 가정식 요리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중국에서 널리 사랑받는 요리 중 하나다. 레이쥔(雷軍) 샤오미(小米) 최고경영자(CEO) 웨이보에 공개한 식단에 따르면 이날 만찬에는 궁바오지딩을 비롯해 크림소스 해물 그라탱, 토마토 소고기 볶음, 고급 생선찜, 채소 요리 등이 제공됐다. 식전 메뉴는 중국식 냉채 요리가 준비됐으며, 후식으로는 과일 아이스크림과 커피, 차가 제공됐다. 건배주는 중국 허베이(河北)산 ‘창청(長城) 화이트 와인 2011’이 선정됐고, ‘창청 레드와인 2009’가 추가로 제공됐다. 중국 측이 준비한 만찬 식단은 가정식 쓰촨(四川) 요리가 두 개 포함되는 등 전체적으로 ‘검소한’ 메뉴로 구성됐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7-11-1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