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부, 통신사 인수 조건 통보…“CNN에 반감 가진 대통령 뜻”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대형 이동통신회사 AT&T의 타임워너 인수 조건으로 CNN 매각을 제시해 논란이 되고 있다.미 법무부는 지난해부터 추진된 AT&T와 타임워너 인수 합병과 관련, 타임워너가 소유한 케이블 뉴스 채널인 CNN을 매각해야만 합병을 승인할 수 있다는 조건을 AT&T에 통보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8일(현지시간) 전했다.
AT&T는 법무부와의 접촉을 표면적으로는 부인했다. 랜든 스티븐슨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성명에서 “CNN을 팔겠다고 한 적이 없고 그럴 의도도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로 AT&T가 법무부의 이 같은 제안을 받아들였는지에 대해서는 보도가 엇갈린다. 로이터는 AT&T가 인수합병 후 CNN을 팔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지만 파이낸셜타임스(FT)는 CNN 매각을 거부했다고 전했다.
법무부가 CNN 매각을 조건으로 내세운 것은 CNN에 반감을 가진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라고 업계와 언론들은 지적하고 있다. 지난해 대선 때부터 CNN의 보도를 “가짜 뉴스”라고 부르며 줄곧 CNN에 적대적이었던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합병에 CNN이 포함된 것을 못마땅하게 여겼다는 것이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유세 기간과 당선인 시절에도 이 합병을 ‘나쁜 거래’로 규정하고 반대한다는 의견을 밝혀왔다. 업계 관계자는 FT에 “결국 모든 문제는 CNN”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0월 발표된 845억 달러(약 94조원) 규모의 이 인수합병 건은 미국 내 통신·콘텐츠시장에서 막강한 지배력을 가진 거대 기업의 출현이라는 점에서 소비자단체와 군소 TV방송국들이 독과점을 우려해 반대해왔다. AT&T는 미 통신업계에서 제2의 규모를 자랑하는 세계적 통신업체이고 타임워너는 CNN과 TBS, HBO, 워너 브러더스 등을 소유한 복합 미디어 그룹이다. 그러나 인수합병 조건으로 CNN 매각이 제시되자 포커스는 독과점 문제에서 트럼프 대통령으로 옮겨간 모양새다.
알 프랑켄 상원의원(민주·미네소타)은 이날 “거대 합병에는 반대하지만 CNN 매각의 정치적 영향에 대해서도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김민희 기자 haru@seoul.co.kr
2017-11-1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