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추락·결과 발표 돌연 연기… ‘美 대선 풍향계’ 요동

바이든 추락·결과 발표 돌연 연기… ‘美 대선 풍향계’ 요동

한준규 기자
입력 2020-02-04 22:38
업데이트 2020-02-05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이오와 코커스 현장 가보니

“지지자가 거의 안 보여” 바이든 4위로
샌더스·워런 2파전… 부티지지도 선전

# 아이오와 디모인 48선거구 “아니, 바이든의 지지 후보가 단 한 명이라니. 믿을 수 없네요.”

# 아이오와 디모인 47선거구 “바이든 후보는 지지율 6%로 컷오프됐네요. 예상 밖이네요.”

3일(현지시간) 2020년 미국 대선 레이스의 출발점이자 ‘대선의 풍향계’로 불리는 민주당의 ‘아이오와 코커스’에 이변이 속출했다. 이번 코커스에서는 조 바이든 전 부통령과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의 접전이 예상됐다. 하지만 선거구 현장의 분위기는 전혀 달랐다. 샌더스 의원은 1위를 지켰지만, 바이든 전 부통령은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과 피트 부티지지 전 인디애나주 사우스벤드시장에게 밀려 사실상 4위를 기록한 것이다.

이날 민주당 지지자 38명이 모인 디모인 소셜클럽 극장(48선거구)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의 지지자는 단 한 명이었다. 오후 7시 13분쯤 개시 선언과 함께 시작된 1차 투표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의 이름이 적힌 곳에 흑인 여성 한 명이 줄을 섰다. 그러자 투표장은 웅성거리기 시작했다. “바이든이 1명밖에 지지자를 확보하지 못했다니….” 참가자들도 예상 밖의 결과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결국 바이든 전 부통령의 지지자는 2차 투표에서 다른 후보를 지지하지 않고 기권했다.

참가자 38명 중 17명(44%)의 지지를 받은 샌더스 의원이 1위를, 13명(34%)의 지지를 받은 워런 의원이 2위를 차지했다. 이곳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은 단 1%의 지지도 받지 못했다. 이는 15% 이상의 지지를 받지 못하면 지지 후보를 바꿔야 한다는 규정 때문이다.

근처인 웰스파고 아레나(47선거구)도 상황은 비슷했다. 참가자 368명이 모인 이곳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의 지지자는 고작 22명뿐이었다. 15%를 넘기는커녕 하위권에 머무는 초라한 성적에 바이든 전 부통령의 지지자들은 고개를 떨어뜨렸다.

반면 샌더스 의원은 107명을, 워런 의원은 104명을, 부티지지 전 시장은 71명을 확보하면서 1차 선거를 통과했다. 지지 후보의 탈락으로 다시 후보를 정해야 하는 당원들을 대상으로 이어진 2차 투표. 또 한 번의 이변이 일어났다. 워런 의원 측이 131명을 끌어모으며 샌더스 의원을 누르고 1위에 오르는 막판 뒤집기에 성공한 것이다. 샌더스 의원은 113명, 부티지지 전 시장은 107명을 확보했다. 아이오와 전체 1678개 선거구 중 한두 곳에서만 드러난 표심이지만 전체적인 분위기는 비슷할 것으로 보여 민주당은 대혼란에 빠졌다.

이날 오후 11시쯤 코커스의 결과를 발표하기로 했지만 세 가지 유형(1순위 투표 결과, 1·2순위 투표 합산 결과, 후보별 할당 대의원 수)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결과 발표가 하루 뒤로 늦어지는 초유의 일이 벌어졌다. 일각에서는 패배한 후보 진영에서 “개표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등 불복할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어찌 됐거나 2020년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맞붙을 대선 후보를 뽑는 첫 경선부터 잡음이 일면서 민주당은 체면을 크게 구겼다.

결과 발표는 늦어졌지만 아이오와 경선에서 샌더스 의원과 워런 의원의 2파전 분위기는 달라지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샌더스 의원의 초반 돌풍은 예상한 그대로였지만, 바이든 전 부통령의 추락은 상상하지 못했다”면서 “사실상 이번 아이오와 코커스의 가장 큰 수혜자는 기대 이상으로 선전한 워런 의원과 부티지지 전 시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디모인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20-02-05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