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한한’ 미국 대선…누가 되느냐보다 언제 끝날지가 더 관심

‘희한한’ 미국 대선…누가 되느냐보다 언제 끝날지가 더 관심

김규환 기자
입력 2020-11-02 16:16
업데이트 2020-11-02 16: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미국인들은 이번 대선에서 누가 당선되느냐보다 언제 끝날지에 더 관심이 많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은 미 대선 부통령 후보 TV토론회를 앞두고 행사장인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의 유타대학교에서 관계자들이 코로나19 차단을 위해 투명 아크릴 칸막이를 설치하고 있다. 솔트레이크시티 AFP 연합뉴스
미국인들은 이번 대선에서 누가 당선되느냐보다 언제 끝날지에 더 관심이 많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은 미 대선 부통령 후보 TV토론회를 앞두고 행사장인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의 유타대학교에서 관계자들이 코로나19 차단을 위해 투명 아크릴 칸막이를 설치하고 있다. 솔트레이크시티 AFP 연합뉴스
“우리는 선거제도를 전에 없던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누가 당선되고, 이를 언제 알 수 있을지가 전례 없이 불확실하다.” ‘로보 어드바이저’의 선두업체 중 하나인 베터먼트의 아담 그릴리시 이사는 미국 대선이 언제 끝날지가 관건이라며 불확실성을 가장 싫어하는 월가는 특히 더 그렇다고 전했다.

1일(현지시간) 미국의 경제전문 채널인 CNBC에 따르면 이번 미국 대선은 누가 대통령에 당선되느냐보다 언제 최종 결과가 나올지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미 대선의 결과가 늦게 나오면 나올수록 불확실성은 증폭돼 증시에 ‘독약’이 된다. 투자자들이 바라는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누가 이기든 승자가 최대한 빨리 결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번 대선 결과는 적어도 며칠, 길게는 몇 주 뒤에나 드러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코로나19 감염이 두려운 유권자들이 우편투표 등 사전투표에 대거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현재 9000만 명이 사전투표를 했다. 등록 유권자 가운데 43%가 이미 우편투표나 사전 현장투표를 통해 투표권을 행사한 것이다. 이는 2016년 대선 당시 총 투표자(1억 3650만여명)의 66%에 해당한다. 사전투표 중 우편투표가 현장 투표보다 2배 정도 많다. 결국 이번 대선은 우편투표가 승부를 결정한다는 얘기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수시로 우편투표의 문제점을 제기하며 만약 질 경우 불복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실제 버려진 우편투표 용지가 발견되는 등 우편투표는 약간의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특히 주마다 우편투표 개표를 언제,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규정이 모두 달라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예컨대 플로리다, 애리조나와 같은 주는 대선일인 3일 이전에 개표를 시작한다. 그러나 위스콘신과 펜실베이니아 등은 대선일까지 우편투표를 개봉하지 않는다.

주마다 우편투표 마감도 다르다. 조지아 등 일부 주는 3일 혹은 이전에 도착한 우편투표만 유효표로 인정한다. 반면 오하이오 등은 대선 당일인 3일 소인만 찍히면 대선일 이후에 도착해도 유효표로 간주한다. 때문에 우편투표가 모두 집계되는 것은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물론 개표 초반 한 후보가 월등히 앞서 나간다면 우편투표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박빙이면 우편투표를 모두 집계해야 최종 승부가 결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미국 대선의 결과는 며칠이 아니라 수 주가 걸릴 수도 있다. 미국 자본시장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이 같은 시나리오가 현실화하는 것이다. 이번 대선은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누가 되는 것만큼이나 언제 끝날지가 중요한 선거가 된 것이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