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인도에 백신 원료 지원… 직접 공급은 안 해

美, 인도에 백신 원료 지원… 직접 공급은 안 해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21-04-26 18:04
업데이트 2021-04-27 0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U “산소호흡기 등 의료용품 보낼 것”
인도, 하루 확진 35만여명… 연일 최다
네덜란드 등 인도발 입국금지도 확산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한 인도발 입국을 금지하는 국가가 잇따르는 가운데 국제사회 한편에선 의료 및 방역물품 지원에 팔을 걷고 있다. 특히 미국이 국방물자로 취급 중인 코로나19 백신 원료를 인도에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인도 보건·가족복지부는 26일 오전 기준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수가 35만 2991명, 일일 신규 사망자수는 2812명으로 또다시 세계 최고기록을 경신했다고 발표했다. 환자가 급증하며 평소 12~53달러에 팔리던 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100㎎)의 암시장 가격은 330~1000달러로 뛰었고, 저산소혈증을 겪는 중환자용 산소통이 품귀 현상 속에서 평소 가격의 8배 이상인 660~1330달러 선에 암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영국 BBC뉴스가 전했다.

전파력이 강한 이중, 삼중 변이가 확산되자 각국은 앞다퉈 인도에 빗장을 다시 걸고 있다. 네덜란드는 다음달 1일까지 인도발 여객기 착륙을 금지하고, 이탈리아 보건부는 2주 내 인도 체류자 대상 입국 금지 행정명령을 내렸다. 독일 역시 인도에서의 입국을 독일인에 한해 허용했다. 인도와 국경을 접한 방글라데시는 2주 동안 국경을 폐쇄, 인적 이동을 금지하고 화물운송만 허용키로 했다. 영국과 캐나다,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이란, 싱가포르 등은 인도발 입국 규제를 이미 실시해 왔다.

이와 동시에 국제사회는 의료용품 등 물품 지원책을 강구했다. 미국은 코로나19 백신 원료와 긴급진단 검사키트, 인공호흡기, 개인보호 장비 등을 지원키로 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팬데믹 초기 미국의 병원들이 어려울 때 인도가 지원했듯이 우리도 인도를 돕겠다”는 트윗으로 이 같은 결정을 알렸다. 앞서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장이 인터뷰에서 “인도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지원하는 방안이 적극 고려될 것”이라고 밝혀 기대를 키웠지만 백신 직접 지원은 목록에서 빠졌다.

14억명의 인구대국인 인도에서 재확산을 막아내지 못할 경우 다른 개발도상국으로 코로나19 전이가 가속화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며 유럽연합(EU) 행정부 수반 격인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도 의료용품 지원 계획을 시사했다. 인도로부터 산소호흡기 등 지원 요청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독일과 프랑스는 관련 물품을 며칠 이내에 전달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EU 소속이 아닌 영국은 이미 인도에 산소농축기 등 의료장비를 1차로 보낸 데 이어 다음주 후반쯤 추가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21-04-27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