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월마트 가로막은 인도 “현지 데이터센터·서버 세워라”

아마존·월마트 가로막은 인도 “현지 데이터센터·서버 세워라”

김규환 기자
입력 2019-02-26 00:18
업데이트 2019-02-26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유통기업 印온라인시장 70% 차지

印정부, 중국식 자국기업 보호 따라
새 e커머스법 3년내 실행 시한 적시

미국의 온·오프라인 ‘유통 메이저’인 아마존과 월마트의 인도 시장 공략에 제동이 걸렸다. 글로벌 인터넷 경제를 장악하고 있는 이들 업체에 인도 정부가 ‘비관세 장벽’을 쌓아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전날 인도 유통업체에 유리하게 규제를 조정한 새로운 ‘e커머스법’(전자상거래법) 초안을 마련, 발표했다. 인도의 새 e커머스법 마련은 아마존과 월마트의 온라인 쇼핑몰이 인도 온라인 시장에서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우려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미 모건스탠리는 인도의 온라인 시장이 2026년까지 2000억 달러(약 224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e커머스법 초안은 외국 기업들이 인도 현지에 더 많은 데이터센터와 서버들을 구축하라고 규정한 것이 초점이다. 초안은 “인도 데이터는 인도의 발전을 위해 쓰여야 한다”며 “인도 시민과 기업이 데이터 수익화로 얻은 경제적 이익을 공유해야 한다”고 명기했다.

WSJ는 “글로벌 전자상거래업체들은 통상 전 세계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고 있다”며 “초안은 이 같은 관행을 무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외국 기업들에 압박을 강화해 인도 기업의 육성을 뒷받침하는 중국의 공식을 따르고 있다는 게 이들 업체의 주장이다. 중국의 경우 중국 내 데이터를 저장해야 한다는 규정을 내세워 애플이 지난해 중국 소비자들의 아이클라우드 계정정보를 현지 파트너 서버로 옮기기 시작했다.

문제는 데이터의 현지화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데이터 현지화를 하려면 미 기업들이 그만큼 더 많은 돈을 인도 시장에 투입해야 하고 기존 업무 프로세스도 변경해야 하는 만큼 사업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더군다나 초안은 외국 기업들이 앞으로 3년 안에 요구 사항을 따라야 한다고 규정해 시한까지 제시했다.

이에 따라 인도 시장에 공격적인 투자를 해온 아마존과 월마트는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월마트는 지난해 8월 160억 달러를 들여 인도 온라인 유통업체 플립카트의 지분 77%를 사들였다. 월마트로서는 오프라인 성장이 한계에 부딪히자 온라인 유통으로 맞불 작전을 펼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복안이었다.

아마존 역시 마찬가지다. 월마트에 자극을 받은 듯 지난해 9월 5억 7900만 달러를 투자해 인도 현지 슈퍼마켓 체인인 모어의 지분 49%를 인수, 오프라인 부문을 강화했다. 아마존 대변인은 “우리는 현재 초안 정책을 연구하고 있다”며 “공개 검토 기간 내에 우리의 의견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9-02-26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