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남중국해 분쟁 비타협 방침 재확인

중국, 동·남중국해 분쟁 비타협 방침 재확인

입력 2013-06-02 00:00
업데이트 2013-06-02 16: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총참모장 샹그릴라대화서 밝혀…”영토순찰 정당”오키나와 귀속 재논의 주장엔 “정부 공식입장 아냐”

중국 인민군 부총참모장을 맡고 있는 치젠궈(戚建國) 중장이 동·남중국해 영토 분쟁에서 타협하지 않을 것이라는 방침을 재확인하고 중국 군함의 분쟁 도서 순찰은 “전적으로 정당하다”고 주장했다.

치 중장은 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12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서 “평화를 위한 대화와 논의는 결코 무조건적인 타협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국가의 핵심 이익을 지키려는 우리의 의지와 다짐은 확고하다”고 밝혔다.

치 중장은 중국 군함이 동중국해의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와 남중국해의 난사군도를 순찰하는 것은 “영토순찰이기 때문에 전적으로 정당하다”고 말했다.

치 중장은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그것이 우리의 영토라는 것”이라며 “그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매우 명확하다”고 강조했다.

댜오위다오를 놓고는 중국과 일본이, 난사군도에 대해서는 중국 필리핀 베트남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대만이 분쟁을 겪고 있다.

이 도서들을 둘러싼 긴장 고조에도 중국은 앞으로 이 지역에 대한 무력시위와 순찰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1일 척 헤이글 미국 국방장관은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가 주관한 이 안보회의에서 동·남중국해 분쟁과 관련해 “현상을 바꾸는 어떤 강압적인 시도에도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치 중장은 미국의 아시아 중시 전략에 대해서도 “냉전적 사고에서 탈피해야 한다”며 비판했다.

치 중장은 미국의 아시아 전략을 명시적으로 지칭하지는 않았으나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안보와 번영을 위해서는 “냉전적 사고와 제로섬 게임에서 벗어나야 하고, 군사동맹을 설정해서는 안 되며, 가상의 적국을 설정하거나 제3국에 대항하는 행동을 취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치 중장은 일본 오키나와의 귀속 문제를 재논의해야 한다는 중국 내 일각의 주장에는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이 아니다”라며 선을 그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지난달 8일 오키나와 귀속 문제를 재논의해야 한다는 주장을 학자의 기고문을 싣는 형식으로 게재해 일본의 반발을 샀다.

오키나와 전신 류큐(琉球)왕국은 19세기 일본에 흡수되기 전에는 독립국으로 명나라 시대부터 명 황제의 책봉을 받고 명·청 시기에는 중국 속국이었다는 것이다.

치 중장은 “특정 학자들의 글일 뿐”이라며 “그들의 시각은 중국 정부의 견해를 대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댜오위다오, 류큐, 오키나와 문제는 각각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고 성격이 다르다”며 “이 부분에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은 매우 명확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