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은 중국의 밸런타인데이 격인 칠월칠석. 베이징 서우두(首都) 체육관에서 열린 ‘칠석 특집-2013 연인 가요 콘서트’는 남녀 커플을 타깃으로 기획된 행사였지만 한눈에 보기에도 여성 관중들이 압도적이었다.
‘남자친구를 구하지 못했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1만 6000평 규모(1만 8000명 수용)의 거대한 체육관은 비명에 가까운 고함소리로 떠나갈 듯했다.
중국에선 ‘골드미스’를 ‘성뉘’(剩女·잉여 여성)라고 부른다. ‘시집을 가지 못하고 남아 있는 여성’이란 의미다. BBC 중문망은 14일 중국 최대 결혼중개사이트 스지자위안(世紀佳緣)의 통계를 인용해 베이징 20~30대 여성 인구 가운데 3분의1인 50만명이 신랑감을 구하고 있는 ‘성뉘’라고 보도했다.
중국은 1979년부터 실시된 한 자녀 정책으로 성 감별에 따른 낙태가 암암리에 성행하면서 극심한 성비 불균형을 겪고 있어도 골드미스들은 넘쳐난다. 중국 인구 통계에 따르면 1970년에 태어난 남성은 여성의 두 배이며, 1980~2000년 사이에 태어난 남성은 여성보다 무려 3331만명이 많다.
그럼에도 ‘성뉘’가 양산되는 이유는 단연 전통 관념이 꼽힌다. 신랑이 신부보다 높은 학력과 사회적 지위, 재력을 가져야 한다는 고정관념 때문이다. 이 같은 조건들로 남녀를 A·B·C·D 4개 등급으로 나눌 경우 A급 여성과 D급 남성만 선 시장에 남게 돼 골드미스가 넘친다는 결론이 나온다.
여기까지는 한국과 상황이 다르지 않다. 다만 ‘성뉘’라는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 결혼에 대한 강박이 극심해 중국 미혼 여성들의 심적 스트레스는 한국보다 한 수 위라는 설명이다.
런민대 경제학과 4학년 왕타오(王濤)는 “중국 엄마들은 딸이 대학생만 되면 빨리 신랑감을 구하라고 닦달할 정도로 결혼이 최대 목표여서 여자애들과 함부로 연애하기가 겁난다”고 말했다.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는 “결혼을 전제로 하지 않는 모든 연애는 깡패짓”이란 말이 유행어가 됐을 만큼 여성들이 결혼에 목을 매 남성들도 덩달아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이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남자친구를 구하지 못했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1만 6000평 규모(1만 8000명 수용)의 거대한 체육관은 비명에 가까운 고함소리로 떠나갈 듯했다.
중국에선 ‘골드미스’를 ‘성뉘’(剩女·잉여 여성)라고 부른다. ‘시집을 가지 못하고 남아 있는 여성’이란 의미다. BBC 중문망은 14일 중국 최대 결혼중개사이트 스지자위안(世紀佳緣)의 통계를 인용해 베이징 20~30대 여성 인구 가운데 3분의1인 50만명이 신랑감을 구하고 있는 ‘성뉘’라고 보도했다.
중국은 1979년부터 실시된 한 자녀 정책으로 성 감별에 따른 낙태가 암암리에 성행하면서 극심한 성비 불균형을 겪고 있어도 골드미스들은 넘쳐난다. 중국 인구 통계에 따르면 1970년에 태어난 남성은 여성의 두 배이며, 1980~2000년 사이에 태어난 남성은 여성보다 무려 3331만명이 많다.
그럼에도 ‘성뉘’가 양산되는 이유는 단연 전통 관념이 꼽힌다. 신랑이 신부보다 높은 학력과 사회적 지위, 재력을 가져야 한다는 고정관념 때문이다. 이 같은 조건들로 남녀를 A·B·C·D 4개 등급으로 나눌 경우 A급 여성과 D급 남성만 선 시장에 남게 돼 골드미스가 넘친다는 결론이 나온다.
여기까지는 한국과 상황이 다르지 않다. 다만 ‘성뉘’라는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 결혼에 대한 강박이 극심해 중국 미혼 여성들의 심적 스트레스는 한국보다 한 수 위라는 설명이다.
런민대 경제학과 4학년 왕타오(王濤)는 “중국 엄마들은 딸이 대학생만 되면 빨리 신랑감을 구하라고 닦달할 정도로 결혼이 최대 목표여서 여자애들과 함부로 연애하기가 겁난다”고 말했다. 중국 젊은이들 사이에는 “결혼을 전제로 하지 않는 모든 연애는 깡패짓”이란 말이 유행어가 됐을 만큼 여성들이 결혼에 목을 매 남성들도 덩달아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이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3-08-15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