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열자마자 494% 폭등… 中 세 번째 베이징 증시 개장

문 열자마자 494% 폭등… 中 세 번째 베이징 증시 개장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1-11-15 21:04
업데이트 2021-11-16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企 소재·부품 키워 美 의존 탈피
퉁신 등 10개 종목 100% 넘게 올라

중국 베이징증권거래소가 15일 문을 열었다. 상하이와 선전에 이은 본토의 세 번째 거래소다. 미국의 대중국 기술 제재에 대응하기 위해 중소·혁신기업 육성 창구 역할을 맡는다.

15일 신랑재경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베이징증권거래소가 개장해 81개 종목이 거래를 시작했다. 전기차 부품 제조업체 퉁신(同心)이 493.67% 폭등하는 등 10개 종목이 100% 넘게 올랐다. 베이징 거래소는 하루 등락폭이 30%로 제한됐지만, 상장 첫날에는 이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이날 19개가 올랐고 59개가 떨어졌다. 3개는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다.

베이징 거래소는 소기업 전용 장외주식 시장인 신싼반(新三板)의 일부를 떼어 만들었다. 현재 신싼반에는 7172개 업체가 등록돼 있다. 이들도 장기적으로 베이징 증시로 건너올 계획이다. 다만 개미 투자자들에 대한 문턱을 높여 기관 위주로 운영된다. 중국 당국은 투자 경력이 2년 이상이고 주식계좌 20일 평균 잔액이 50만 위안(약 9200만원) 이상인 이들은 베이징 거래소로 들어올 수 있게 했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기업의 장기 성장을 기다릴 ‘인내자본’을 끌어 오려는 취지다.

베이징 거래소 출범이 주목받는 것은 최근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중소혁신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어서다. 미국에 대한 기술 의존도를 낮추고 새로운 자본 공급망을 확충하려는 의도다.

베이징 거래소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설립 계획을 밝힌 뒤 두 달 만에 생겨났다. 앞서 시 주석은 올해 9월 ‘2021 중국국제서비스무역교역회(CIFTIS)’ 개막 연설에서 베이징증권거래소 설립 계획을 밝히면서 “우리는 계속해서 중소기업의 혁신과 발전을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1-11-16 1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