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김치 소비 급증…코로나19 예방 소문에 사재기까지

일본에서 김치 소비 급증…코로나19 예방 소문에 사재기까지

김태균 기자
입력 2020-05-18 15:47
수정 2020-05-18 15: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배추김치  서울신문 DB
배추김치
서울신문 DB
코로나19 확산 이후 일본에서 김치 판매량이 부쩍 늘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8일 보도했다.

요미우리는 “코로나19 예방 효과에 대한 기대감으로 김치, 낫토 등 발효식품 매출이 증가했다”며 예방효과가 공식적으로 검증되지도 않았는데 사재기 움직임까지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도내 한 슈퍼마켓의 경우 이달 들어 14일까지 김치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61%나 늘었다. 한 대형 김치 제조업체는 주재료인 배추가 계약농가로부터 받는 물량만으로는 부족해지자 최근에는 직접 시장에서 사들이고 있다. 물량 부족으로 배추 가격도 급등하고 있다. 도쿄도 중앙도매시장의 배추 가격은 전년 동기의 3배 이상으로 치솟았다.

낫토, 요구르트, 된장 등 다른 발효식품의 매출도 껑충 뛰었다. 전국 슈퍼마켓 등 약 3000곳의 데이터를 집계한 결과 4월 27일~5월 3일의 1주일간 낫토의 판매액이 전년 대비 26% 증가하는 등 주요 발효식품 매출이 지난 2월 초를 기점으로 일제히 지난해 수준을 웃돌고 있다.

발효식품은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했을 때 몸을 지켜주는 면역력의 유지 및 향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본 소비자청은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를 뒷받침하는 공인된 근거는 없다”며 ‘코로나19에 특효’와 같이 과장된 상품 광고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