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신자들 연령 높을수록 미사 참여 높아

천주교 신자들 연령 높을수록 미사 참여 높아

입력 2012-08-08 00:00
업데이트 2012-08-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교구 설문조사

우리나라 천주교 신자들은 연령이 높을수록 미사 참여율이 높고 신자의 절반에 가까운 45%가 소공동체 활동을 하지 않는다. 또 절반 이상이 피정이나 종교 교육에 참여하지 않고 있으며 10명 중 8명꼴로 선교에 무관심하다.

소공동체 모임을 열고 있는 천주교 신자들. 국내 천주교 신자 중 절반 정도가 소공동체 활동에 무관심한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소공동체 모임을 열고 있는 천주교 신자들. 국내 천주교 신자 중 절반 정도가 소공동체 활동에 무관심한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소공동체 도입 20년 불구 45% “참여 안 해”

이 같은 사실은 천주교 서울대교구가 지난해 8월부터 10개월간 서서울, 중서울, 동서울 등 3개 지역에서 3곳씩 모두 9곳의 본당 신자 1만 784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최근 발표한 ‘서울대교구 본당사목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 설문조사 보고서’에서 확인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사 참례율이 교구 평균(27.5%)보다 높은 본당의 경우 60대 이상 신자 비율이 전체 신자의 41.9%였지만 낮은 본당은 30.3%로 젊은 신자의 비중이 높았다. 주일미사 참여율이 연령대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소공동체 활동과 관련해선 응답자 중 45.2%가 ‘구역·반 모임에 전혀 참여하지 않는다’고 밝힌 반면 ‘적극 참여’한다는 응답은 27.4%에 그쳤다. 이는 한국 천주교에 소공동체가 도입된 지 올해로 20년째이지만 아직 정착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결과로 천주교계는 분석하고 있다.

특히 본당에서 실시하는 피정이나 교육에 ‘열심히 참석’하는 신자가 12.8%에 불과한 데 비해 ‘거의 참여하지 못한다’고 밝힌 응답자는 51.6%나 됐다. 이는 서울대교구 신자들의 피정, 교육 참여율이 한국 천주교회 전체에 비해 낮은 수준임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해 신자들이 평신도 교육에 가장 관심을 둬야 할 부분으로는 성경(33.5%)을 으뜸으로 꼽았고 다음으로 영성(26.7%), 사회 교리(17.5%), 선교(10.5%), 전례(8.6%) 순으로 들어 흥미롭다.

●10명 중 8명꼴 선교 무관심… 대책 마련 부심

한편 선교와 관련해선 신자 대부분(77.4%)이 3년 내 직접 선교를 통해 입교시킨 신자가 단 한 명도 안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3년 동안 1명이라도 입교시킨 이는 전체 응답자 1만 784명 중 고작 1388명(12.9%)에 불과했다. 현재 서울대교구는 2020년까지 복음화율을 20%로 끌어올리는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염수정 대주교는 “천주교회 전반에 걸쳐 냉담률 증가와 주일미사 참여율 감소 등 불안한 표징들이 일고 있다.”며 “교회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이번 보고서를 토대로 쇄신의 길을 향해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희망한다.”고 밝혔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08-08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