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별미 매콤한 물회·맛 좋은 식해

동해 별미 매콤한 물회·맛 좋은 식해

입력 2012-08-09 00:00
업데이트 2012-08-09 0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S1 9일밤 ‘한국인의 밥상’

여름휴가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국내 피서지는 단연 동해다. 동해안의 시원한 바다와 초록 빛깔 뽐내는 산과 자연은 무더위에 지친 현대인들의 눈을 즐겁게 한다. 눈만 즐거우랴. 동해안에는 시원한 바다만큼이나 맛깔스러운 별미가 넘쳐난다. 동해안으로 피서를 떠났다면, 바다에서 갓 잡아 올린 펄떡이는 생선을 서걱서걱 썰어 넣고 얼음 동동 띄운 물에 말아 먹는 물회 한 사발 먹어보는 건 어떨까. 9일 밤 7시 30분부터 방영되는 KBS 1TV의 ‘한국인의 밥상’에서는 동해의 별미 물회와 식해에 대한 이야기를 전한다.

이미지 확대
강원도 동해안의 별미 물회와 식해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KBS 1TV 한국인의 밥상의 한 장면. KBS 제공
강원도 동해안의 별미 물회와 식해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KBS 1TV 한국인의 밥상의 한 장면.
KBS 제공


물회는 원래 뱃사람의 음식이었다. 물회의 역사는 바다 한가운데서 시작됐다. 생계를 위해 바다 위에서 생활하는 어부들에게 물회는 패스트 푸드였다. 힘든 뱃일을 하다 보면 뱃전에서 밥 먹을 시간도 여의치 않았기 때문에 건져 올린 생선을 대충 썰어 고추장을 풀어 넣고 물에 말아 훌훌 넘겼다. 회를 끼니 삼아 먹었다는 점에서 어부들은 오늘날 생선회의 원조가 바로 물회 아니었을까 조심스레 추측하고 있다. 매콤하고 시원한 맛으로 더위를 식혀 줄 뿐 아니라, 어부들의 뱃속과 마음까지 편안하게 했던 물회. 제작진은 물회 문화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경북 포항의 선원들에게서 물회의 역사와 바다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 본다.

강원도에서 식해가 빠진 잔치는 잔치가 아니다? 서해안에 젓갈이 있다면 동해안에는 식해가 있다. 평상시에도 밥상에 식해가 빠짐없이 오른다는 포항의 김옥례 할머니는 못 생겨도 맛은 좋은 횟대 식해와 제사상에 꼭 오른다는 흰밥 식해를 담그신다. 그런가 하면 강릉 김씨 종가에서는 제사상에 올랐던 생선포를 이용해 식해를 담근다. 제작진은 가문을 위해 일생을 희생한 이영자 할머니를 비롯해 99세 증조할머니부터 초등학생 손자까지 4대가 함께 사는 강릉 종갓집의 이야기를 들어 본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2-08-09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