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리뷰] 그와 그녀의 목요일

[연극리뷰] 그와 그녀의 목요일

입력 2012-11-30 00:00
업데이트 2012-11-30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0년간 아옹다옹하는 이성친구 다섯번의 특별한 목요일 데이트

“시원한 거 없어?” “없어.”, “주스 없어?” “없다니까.”, “나갈까?” “싫어.”, “갑자기 웬 풀이냐?” “난()이거든!”

이미지 확대
아옹다옹하는 중년 남녀가 꽤나 귀엽다. 주변을 뱅글뱅글 돌면서 재잘대는 정민(조재현)과 톡톡 쏘아붙이는 말투로 응대하는 연옥(배종옥)의 관계는 오랜 친구로 포장돼 있지만 그 이상의 무엇인가가 있다. 속이 쓰리다는 연옥에게 낙지볶음을 권하는 무심한 정민이 대뜸 “진지하게 만나보자.”면서 매주 목요일 만날 것을 제안하고 훌쩍 떠났다. 연옥은 “한번 휘젓고 사라지면 몇 달이고 연락도 없는” 정민과 목요일마다 다른 주제를 놓고 정기적으로 만나기로 30년 만에 처음 ‘약속’했다. 둘은 연구실, 야구장, 전시회 등에서 다섯 차례 목요일을 보내면서 비겁함, 역사, 죽음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 속에 정민과 연옥의 과거가 있고 복잡 미묘한 둘의 관계가 담겼으며 금성과 화성만큼 다른 심리 상태가 녹아들었다.

‘그와 그녀의 목요일’은 달콤한 로맨틱 연극으로 한정하면 곤란하다. 가까워질수록 복잡해지고 서로 차이점을 더 극명하게 느끼게 되는 남녀 관계를 유쾌하면서도 진지하게 품는다. 1970년대 프랑스 대표 작가로 꼽히는 마리 카르디날(1929~2001)의 소설 ‘샤를르와 룰라의 목요일’을 한국 상황에 맞춰 만들었다. 원작에서 프랑스 북부 출신의 역사학자이자 자유주의자인 샤를르는 역사학 교수 서정민이 됐고 알제리 출신 저널리스트 룰라는 은퇴한 국제분쟁 전문기자 정연옥으로 태어났다. 룰라는 프랑스 제국주의를 향해 분노를 표출하고 연옥은 1980년대 서슬 퍼런 군부독재를 비판한다.

룰라와 샤를르가 40년 동안 친구와 연인 사이를 오갔다면 연옥과 정민은 30년 동안 그 ‘어정쩡’한 관계를 유지했다. 두 작품 사이에는 다른 시공간의 배경이 놓여 있지만 남녀 관계의 그 애매하고 혼란스러운 관계, 다른 말과 표현에서 비롯되는 오해와 갈등은 여전하다. 정민과 연옥이 서로에게 터뜨린 불만의 핵심이 거짓말과 무책임이라는 점도 많은 이들이 세차게 고개를 끄덕일 만하다. “사랑은 사랑일 뿐 사랑할 나이가 따로 있다거나 나이에 따라 사랑이 다르게 느껴지지는 않는 것 같다. 중년의 사랑을 다룬 것이 아니라 삶의 이야기를 하는 작품이다.”라는 배종옥의 말에 공감이 간다. 인물 심리 묘사가 뛰어나다는 평을 받은 황재헌 연출의 공도 커 보인다.

차분하고 지적인 연옥은 배종옥과 정재은이, 유쾌하지만 다소 철없어 보이기도 하는 정민은 조재현과 정웅인이 연기한다. 연극열전과 예술의전당이 공동 제작했다. 12월 30일까지 서울 서초구 서초동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3만 5000~5만원. (02)580-1300.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11-30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