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속 내연산 폭포 명승 된다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속 내연산 폭포 명승 된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1-08-23 11:58
업데이트 2021-08-23 1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산폭포. 문화재청 제공
연산폭포. 문화재청 제공
‘내연산폭포도’, ‘내연삼용추도’ 등 겸재 정선(1676~1759)이 그림으로 남긴 포항 내연산 폭포가 명승이 된다.

문화재청은 경북 포항 송라면에 있는 자연유산 ‘포항 내연산 폭포’를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 예고한다고 23일 밝혔다. 내연산은 풍화에 강한 화산암으로 이뤄진 산으로, 깎아지른 절벽과 깊은 계곡이 많다. 직선거리로 10㎞가 넘는 내연산 계곡에는 굴참나무, 물푸레나무, 작살나무, 병꽃나무 등이 숲을 이루고 있다. 기암괴석 사이에는 부처손, 바위솔, 바위채송화 등이 자란다.

청하골 또는 내연골로 불리는 계곡에는 자연스럽게 형성된 폭포와 물웅덩이인 용소(龍沼)가 펼쳐져 있다. 내연산 12폭포 가운데 명승 구역은 상생폭포, 보현폭포, 삼보폭포, 잠룡폭포, 무풍폭포, 관음폭포, 연산폭포 등 7개 폭포와 주변 지역이다. 연산폭포는 규모가 가장 크고, 웅장한 위용을 자랑한다.
관음폭포. 문화재청 제공
관음폭포. 문화재청 제공
잠룡폭포. 문화재청 제공
잠룡폭포. 문화재청 제공
겸재 정선 ‘내연삼용추도’.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겸재 정선 ‘내연삼용추도’.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정선은 2년 남짓 포항 청하 현감을 지내면서 내연산 폭포의 아름다움을 화폭에 옮겼다. ‘내연삼용추도’는 잠룡폭포, 관음폭포, 연산폭포 등 세 개의 폭포를 그린 대작이다. 청하와 내연산을 진경산수화의 발원지로 본다. 조선 중기 문인 황여일(1556~1622)과 서사원(1550~1615)도 각각 ‘유람록’과 ‘동유일록’에 내연산 폭포에 관한 기록을 남겼다. 서사원은 “만 길 하얀 절벽이 좌우에 옹위하며 서 있고 천 척 높이 폭포수가 날아 곧장 떨어져 내렸다. 사다리로 올라보니 선계에 앉은 듯해 자신도 모르게 소리를 질렀다”고 감탄했다.

문화재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명승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