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신창리 바다 밑 보물선…중국 중세 무역선 3.1m 닻돌 나왔다

제주 신창리 바다 밑 보물선…중국 중세 무역선 3.1m 닻돌 나왔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11-24 11:09
업데이트 2020-11-24 1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서 발견된 중국 닻돌 중 가장 크고 무거워
북송시대 통용되던 동전, 도자기도 다량 확인

제주 신창리 바다에서 발견된 중국 대형 닻돌.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제주 신창리 바다에서 발견된 중국 대형 닻돌.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국립제주박물관은 지난 5월 말부터 7월까지 진행한 제주 신창리 해역 수중발굴조사에서 중국 도자기, 동전과 함께 3.1m 짜리 대형 닻돌 1점을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신창리 해역 수중 유적은 중국 남송시대(1127~1279) 도자기가 다량 발견돼 과거 중국 무역선이 난파되면서 형성된 유적으로 추정된다. 닻돌은 두 조각으로 쪼개진 채였으며, 전체적으로 긴 마름모꼴에 가운데가 두툼하고 양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태이다. 모든 면을 평평하게 다듬었는데, 자연석 일부만을 다듬어 사용한 우리나라 전통 닻돌과는 차이가 있다.

닻돌 중앙에는 닻채(닻의 자루)와 맞닿는 부분에 22cm의 얕은 홈이 파였고, 고정못을 설치하기 위한 폭 7cm 가량의 홈도 확인됐다. 이런 형태의 닻돌은 중국 송·원대에 유행하던 것으로, 중국 송나라 사신 서긍이 쓴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기록에 따르면 나무로 된 닻가지(닻에 걸린 갈고리)와 결합해 배를 정박시키는용도로 사용했다.
닻돌 인양 모습.
닻돌 인양 모습.
중국 닻돌은 이전에 태안 마도 해역에서 3점,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에서 1점이 발견됐다. 길이 175cm 안팎, 두께 11~13cm, 무게 100~130kg 정도이다. 신창리 바다에서 발견된 닻돌은 전체 길이 310cm, 무게 586kg으로 기존 닻돌에 비해 매우 크고 무겁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송대 닻돌 중 중국 광둥성 양장시 앞바다에서 발견된 난하이 1호의 닻돌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길이 310cm, 무게 420kg로 신창리 닻돌과 길이와 형태는 비슷하나, 무게는 신창리 닻돌이 약 1.4배 무겁다. 연구소는 “신창리 해역에서 난파된 선박의 규모를 간접적으로나마 추정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 중국 동전과 도자기도 확인됐다. 동전은 경덕원보(景德元寶), 희령원보(熙寧元寶). 선화통보(宣和通寶)로 모두 북송시대(960∼1127)에 만들어진 것이다. 경덕원보는 고려시대 제주도 대표 사찰인 수정사 터에서 중국 도자기와 함께 발견된 사례가 있으며, 희령원보는 제주 고내리 유적에서 발견된 사례가 있다.연구소는 “제주도내 육상과 바다 속에서 같은 종류 유물이 나온 건 과거 바닷길을 통한 동아시아 국제교류에서 제주도의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사례”라고 밝혔다.

제주 신창리 수중유적은 1983년 금제 장신구가 발견되면서 처음 존재가 알려졌다. 지난해 처음 진행된 정식 발굴조사에서 중국 남송대 저장성 룽취안 요에서 생산된 도자기들과 상인이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인장 2점이 확인됐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