닿을 수 없었던 이상향 앞에서 좌절했던 일제강점기의 평범한 조선인·일본인들
한·일 양국의 30대 젊은 연출가들이 연극계에 신선한 충격을 선사한다. 한국의 연출가 겸 극작가 성기웅(39)씨가 각색과 협력연출을 맡고, 일본의 연출가 다다 준노스케(37)가 연출해 1일 개막하는 연극 ‘가모메’(カルメギ)가 그것. 각각 극단 제12언어연극스튜디오와 도쿄데쓰락을 이끄는 이들은 ‘로미오와 줄리엣’(2009)부터 지금까지 4편의 작품에서 호흡을 맞춰왔다.2009년부터 4년 동안 호흡을 맞추며 연극의 형식적 실험을 이어온 한국의 연출가 겸 극작가 성기웅(왼쪽)과 일본의 연출가 다다 준노스케. 이들이 또 한번 힘을 모아 무대에 올리는 연극 ‘가모메’(カルメギ)는 시간의 흐름과 뒤섞임 속에 한·일 양국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그려볼 수 있는 작품이다.연극 ‘가모메’ 스틸컷.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흔히 대중문화계의 한·일 교류는 정치적 논란을 넘어선 양국의 화합에 초점을 맞추기 마련. 하지만 이들은 연극의 형식적 실험을 극대화하는 데 몰두해 왔다. 다다 연출가는 기존 연극의 관습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를 뛰어넘는 ‘장르 확대’ 내지는 ‘장르 해체’로, 성 연출가는 문학적 감수성과 언어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재기발랄한 연출로 이름 나 있다. 이들이 한국에서 함께한 ‘재/생’(2011)은 현대사회에서 젊은이들이 겪는 불만과 불안을 배우들이 미친 듯이 춤추고 노래하다 탈진해 가는 퍼포먼스로 발산했으며, ‘세 사람 있어!’(2012)는 세 배우가 자신과 서로를 연기하는 다인 다역으로 정체성의 붕괴라는 주제를 다뤘다.
‘가모메’ 역시 독특한 형식적 실험에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가모메’는 갈매기를 뜻하는 일본어로, 또 다른 제목 ‘カルメギ’는 ‘갈매기’의 가타카나 표기다. 안톤 체호프의 희곡 ‘갈매기’를 조선인과 일본인이 한데 모여 살고 있는 1930년대 조선의 호숫가 마을로 각색했고, 원작처럼 ‘가모메’의 조선인과 일본인 역시 서로 사랑하고 어긋나며 인생의 쓰디쓴 맛을 본다. 장면 장면들은 컨베이어 벨트 위에 올려놓은 듯 무대 위를 지나가며 돌이킬 수 없는 시간의 흐름을 표현한다. 또 현대를 사는 사람들이 과거를 연기하듯 K팝과 J팝, 일렉트로닉 음악들이 흐르고 현대 의상과 소품들이 등장한다.
연극 ‘가모메’ 스틸컷.
한국 관객들이 불편해할 수 있는 대목도 보인다. 조선의 문학청년 류기혁은 연인이자 여배우인 손순임이 일본인 작가 쓰카구치를 동경하고 사랑에 빠지자 스스로를 파국으로 몰아넣는다. 또 당시에는 지식인이었던 조선인들은 일본어로 일본인과 소통한다. “일제강점기를 다룬 작품은 우리 민족이 어떻게 일제에 저항했는지를 주로 보여주죠. 하지만 저는 정치적인 것보다 일상적인 것, 그 시대 문화의 변화에 주목해 왔어요. 당시 조선의 젊은이들이 일본어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일제강점기 후반에는 어쩔 수 없이 있었던 현상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성기웅 연출)
하지만 결국은 제국과 피식민지의 경계를 넘어 서구와 근대라는 닿을 수 없는 이상향 앞에서 좌절했던 범인(凡人)들의 이야기다. 류기혁은 식민지 청년이라는 한계 앞에서 주저앉고, 쓰카구치 또한 서구에 대한 콤플렉스에 찌들어 무기력하게 살아간다. “작품 속 조선인과 일본인 모두 큰 역사의 흐름을 인식하지 못하는 보통사람들이에요. 역사의식이나 정치의식 같은 걸 갖지 못한 사람들이죠.”(성기웅 연출) “그 당시에도 한국인과 일본인이 있었고, 지금도 한국인과 일본인이 있다는 건 변함이 없어요. 그저 양국 사람들이 그때도, 지금도, 미래에도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아간다는 점에서 과거를 통해 양국의 미래를 바라보고 싶었습니다.” (다다 연출)
성 연출가가 일본어에 능통한 덕에 둘은 일본어로 스스럼없이 대화를 나눈다. 둘도 없는 친구가 된 이들이 평소 어떻게 친분을 다지는지 묻자 성 연출가가 웃음을 터뜨렸다. “다다가 한국에 올 때는 제가 바쁘고, 제가 일본에 갈 땐 반대로 다다가 바빠요. 제대로 술 한 잔을 하기도 쉽지 않죠. 술은 다다가 참 좋아하는데. 하하.” 오는 26일까지 서울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111. 전석 3만원. (02)708-5001.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3-10-0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