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캔버스에 담긴 나무와 바다 그리고 예술

대형 캔버스에 담긴 나무와 바다 그리고 예술

입력 2013-12-11 00:00
업데이트 2013-12-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진작가 이명호 12일부터 전시회

“사진이 무엇이냐는 질문에서 출발했어요.”

이미지 확대
‘나무 연작’ 작품 앞에서 미소 짓고 있는 이명호 작가. 갤러리현대 제공
‘나무 연작’ 작품 앞에서 미소 짓고 있는 이명호 작가.
갤러리현대 제공
이명호(38) 경일대 사진예술학과 교수는 원래 등대지기가 꿈이었다. 대학생 때 어두운 밤바다를 지키는 등대의 매력에 푹 빠져 전국의 등대지기들에게 일일이 편지를 쓰며 조언을 구할 정도였다. 지금이야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유명한 사진가로 성장했지만, 당시에는 예술가가 되겠다는 원대한 포부조차 없었다.

작가는 대신 ‘예술이란 무엇이냐’는 답을 찾아 나섰다. 인위적으로 캔버스를 채워넣지 않고 캔버스를 들고 나가 자연이 캔버스를 채우는 방식으로 예술의 의미를 캐묻기로 했다. 매일 무심코 지나치던 나무 뒤에 대형 캔버스(흰색 천)를 세우고, 평범한 나무 사진을 찍기 시작했다. 세계를 돌며 찍은 나무 사진은 자체로 작품이 됐고, 단박에 그의 이름값을 키웠다. 파리의 루이뷔통모엣헤네시(LVMH)와 에르메스가 그의 작품을 사들였다.

다시 바다로 눈을 돌렸다. 이번에는 평범한 바다가 아니었다. 몽골의 고비 사막, 이집트의 아라비아 사막, 툰드라 초원지대를 돌며 300~600명이 대형 캔버스(흰색 천)를 들고 바다의 수평선을 연상시키듯 길게 늘어서도록 했다. 이를 카메라 렌즈에 담아 하얀 거품이 이는 수평선을 인위적으로 만들었다. 불모의 땅에 넘실대는 오아시스를 연상시켰다.

“예술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재현’이라 생각했어요. 그래서 나무 연작을 통해 사물을 다시 보여줬죠. 새로 내놓은 바다 연작은 예술의 다른 기능인 ‘재연’을 통해 말 그대로 다른 형식을 만드는 작업입니다.” 작가는 12일부터 내년 1월 5일까지 서울 종로구 사간동 갤러리현대에서 그간의 작업을 펼쳐놓는다. 나무 연작은 ‘밝은 방’, 바다 연작은 ‘어두운 방’으로 꾸며진 전시 공간에 내걸린다. 내년에 예정된 다음 전시는 소소한 일상을 담을 계획이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12-11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