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내가 용이다’ 야망 넘치던 영조, 늙어서는 그리움 가득

‘내가 용이다’ 야망 넘치던 영조, 늙어서는 그리움 가득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06-04 11:30
업데이트 2022-06-04 1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조가 37세에 쓴 ‘건구고궁’(위)과 81세에 쓴 ‘억석회만’. 류재민 기자
영조가 37세에 쓴 ‘건구고궁’(위)과 81세에 쓴 ‘억석회만’. 류재민 기자
건구(乾九)란 ‘주역’에 등장하는 말로 승천하지 않고 숨어 있는 용, 즉 잠룡(潛龍)을 뜻한다. 37세의 영조는 왕위에 오르기 전 살던 창의궁에 잠룡이 머물던 궁이란 의미로 ‘건구고궁’이란 현판을 달았다. 힘 있는 필체와 자신을 잠룡으로 비유한 현판을 통해 영조는 권위를 드러내고 싶었을 것이다.

81세가 된 영조는 경희궁 도총부에 ‘억석회만’이란 현판을 달게 한다. 억석이란 옛일을 추억한다는 의미로 ‘억석회만’은 ‘옛일을 생각하니 만 가지가 그립다’는 뜻이다. 노년의 글씨에선 인생을 정리해가는 영조가 보인다. ‘억석회만’ 현판을 달고 두 해가 지난 후 영조는 생을 마쳤다. 위아래로 나란히 배치된 ‘건구고궁’과 ‘억석회만’의 간격은 좁지만, 오랜 세월을 압축하는 그 좁은 간격은 인생을 느끼게 한다.
조선 왕조의 현판들. 류재민 기자
조선 왕조의 현판들. 류재민 기자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조선의 이상을 걸다, 궁중 현판’ 전시는 현판 그 자체를 보여주는 독특한 전시다. 대부분 어떤 건물의 이름이었던 현판이 그저 단순한 이름에 그치지 않는 것은 유교적 이상 국가를 지향했던 조선 왕조의 철학과 사상, 생활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태조의 명을 받은 정도전은 경복궁 이름을 비롯해 궁궐 안 주요 전각과 문의 이름을 지었다. 성종은 아직 현판을 걸지 못해 이름 없는 문이 많은 것을 보고 현판을 더 만들게 했다. 왕의 서체로 새겨진 ‘어필 현판’은 왕의 품격과 위엄을 보여 주는 유물로, 전해지는 775점의 현판 중 영조의 어필 현판이 85점으로 가장 많다.

한반도에서 현판은 삼국시대부터 사용됐다. 성리학을 통치이념으로 삼은 조선은 현판에 특히 공을 들였다. 크기가 124×374㎝로 전시작 중 가장 큰 ‘대안문’(大安門·덕수궁 대한문의 원래 이름)을 통해 크게 편안하기를 바랐던 마음을 담은 것처럼 현판에는 추구해야 할 가치, 지켜야 할 도리, 이뤄졌으면 하는 소망 등이 담겨 있다. 예치(禮治·예로써 다스림)의 나라였던 조선의 법도를 현판에 담은 셈이다.
대안문 현판. 대안(大安)을 통해 평안을 기원했다. 문화재청 제공
대안문 현판. 대안(大安)을 통해 평안을 기원했다. 문화재청 제공
뜻을 깊이 이해하고 만든 이의 마음을 상상하는 일도 재밌지만, 현판의 등급을 살피는 즐거움도 있다. 피나무나 잣나무는 최상위 재료였고, 현판 테두리에 화려한 무늬를 더할수록 위계가 높았다. 글씨의 색깔로도 등급이 나뉘었다. 황색이 가장 좋고 흰색, 검은색 순의 등급이다. 석봉 한호가 쓴 현판도 가치 있지만 왕이 직접 쓴 현판이 최고 권위를 갖는다. 누가 썼고,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따라 현판의 완결성이 결정되고 메시지가 갖는 힘도 달라진다.

전시는 프롤로그, 1부 ‘만들다’, 2부 ‘담다’, 3부 ‘걸다’, 에필로그로 구성됐다. 2018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에 등재된 81점의 궁중 현판과 관련 유물 등을 볼 수 있다. 관람객들은 전시 구경뿐만 아니라 창덕궁과 창경궁의 배치도인 ‘동궐도’ 그림에 디지털 현판을 만들어 걸 수 있다. 관람객들은 “학교가기싫다”, “종강시켜주세요” 등의 문구로 조선 왕조의 거창한 소망 못지않게 간절한 소망을 담기도 했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