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이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노들섬 라이브 하우스에서 2021년 1차 총회 및 세미나를 개최했다. 음공협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이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노들섬 라이브 하우스에서 2021년 1차 총회 및 세미나를 개최했다. 음공협 제공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음공협)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자리를 처음 열었다.
음공협은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노들섬 라이브하우스에서 2021년 1차 총회를 열고 세미나 및 토론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음공협은 코로나19 대응책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 4월 발족했다. 페스티벌, 콘서트, 월드투어, 내한공연 등 대중음악공연 관련 업체 41개를 회원사로 뒀다. 이번 총회에서는 단체 설립 취지를 밝히고 그동안 코로나19 관련 정책에 대해 정부, 지자체와 협의한 과정을 설명했다.
‘코로나19, 백신, 그리고 이후의 대중음악공연’을 주제로 한 세미나에서는 많은 제작자가 대중에게 많이 노출된 아티스트들이나 공연 관계자들이 선제적으로 백신 접종해 산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올림픽 주경기장과 체조경기장 등 대형 공연장이 공사를 앞두고 있어 코로나19 극복 이후 공연할 장소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했다.
또 “공연장으로 등록되지 않은 곳에서 열린 공연이 지자체에 의해 취소된 경우가 있었다”며 ‘비등록 공연장’에서의 공연에 대한 지자체의 일률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팬데믹 속 해외 공연 개최 사례, 해외 투어 공연을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 등도 공유됐다. 음공협의 임시협회장을 맡은 엠피엠지의 이종현 프로듀서는 “이날 나온 다양한 의견들을 모아 관계 부처들과 적극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