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아씨들’ 공연 사진. 라이브러리 컴퍼니 제공
14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드림아트센터서 마지막 공연을 앞둔 연극 ‘작은 아씨들’의 이야기가 그렇다. 원작은 1868~1869년 출간된 루이자 메이 올컷의 동명의 장편소설. 여자아이들을 위한 소설을 의뢰받아 집필한 자전적인 소설이다. 타임지가 선정한 100대 영문 소설, BBC가 선정한 영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소설 100편 등에 선정된 명작이다.
1860년대 남북 전쟁 중인 미국 매사추세츠를 배경으로 마치 가(家)의 네 자매 메그, 조, 베스, 에이미의 추억이 펼쳐진다. 우아한 첫째 메그, 희곡 작가를 꿈꾸는 당차고 솔직한 성격의 둘째 조, 피아노에 뛰어난 재능을 가졌고 수줍음이 많은 셋째 베스, 귀엽고 사랑스러운 막내 에이미까지. 저마다 다른 개성으로 빛나는 네 자매의 이야기가 유쾌하고 흐뭇하게 다가온다.
‘작은 아씨들’ 공연 사진. 라이브러리 컴퍼니 제공
여자가 투표도 할 수 없고 푼돈밖에 못 버는 현실에서 부자 남편과의 결혼이 최고의 성공이라 여겨지던 시대. 그러나 자매들은 당차게 자신의 인생을 일구며 용기 있는 선택을 한다.
장녀 메그는 부자 남편이 아닌 가난하지만 진정으로 사랑하는 가정교사 브룩과 결혼을 택한다. 조는 사랑에 얽매이는 대신 독립적인 여성으로 성장해 미국에서 성공한 작가가 된다. 조는 이웃이자 오랜 친구인 로리의 고백에도 지금의 자유로움이 좋다며 프러포즈를 거절하는, 당대에는 보기 드문 여성 캐릭터로 원작자의 분신과도 같은 존재다. 세상 얌전했던 베스는 침대에 올라 웅변하듯 조를 응원하고, 대고모와 함께했던 에이미 역시 원치 않는 결혼을 박차고 나와 주체적인 삶을 살아간다.
‘작은 아씨들’ 공연 사진. 라이브러리 컴퍼니 제공
철없고 유치한 시절부터 어른으로 성장해 살아가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배우들의 연기가 돋보였다. 개성이 강하지만 배우들이 캐릭터를 잘 살린 덕에 나의 소중했던 시절을 절로 떠올리게 한다.
마지막에는 ‘즐거운 나의 집’ 음악이 나와 자매들의 즐거웠던 한때를 지켜본 감동을 더한다. 불안한 현실에서도 나를 생각해주고 응원해주는 누군가가 있다는 사실, 그 사람과 소중한 추억이 살아가는 힘이 된다는 사실에 새삼 감사한 마음이 들게 하는 작품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