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인 줄 알았더니 고려 신하… ‘정선아리랑’에 얽힌 사연

도둑인 줄 알았더니 고려 신하… ‘정선아리랑’에 얽힌 사연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2-21 19:23
업데이트 2024-02-26 18: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연극 ‘화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공
연극 ‘화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공
1398년 초 늦겨울. 보릿고개가 힘겹던 강원도 정선의 깊은 골짜기 마을에 소중한 식량이 사라졌다. 훔쳐 간 사람을 잡고 보니 어째 정체가 영 수상하다. 도대체 무슨 사연인 걸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산실에 선정된 연극 ‘화전’은 조선 초기에 전오륜(1334~1425)을 비롯한 고려 유신 7명이 강원도 정선 서운산으로 은거지를 옮겨 산나물을 뜯어먹고 살며 절개를 지켰다는 역사 속 사실을 모티브로 창작한 작품이다. 농사일을 모르는 고려 유신들과 나랏일을 모르는 화전민들의 공존을 담았다.

식량을 훔친 이는 전오륜의 아들이었고 그는 “나 혼자 먹었다”고 거짓말했다가 이내 함께 온 사람들을 먹이기 위해 훔친 사실이 드러난다. 마을 사람들은 도둑을 처단하자고 하지만 마을 촌장은 딱한 사정을 살피고 유신들이 모두 남자이니 이들에게 일을 시키자고 제안한다. 마을 사람들은 못마땅해하면서도 촌장의 의견을 따른다.

만날 일 없을 것 같던 이들은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운다. 농사일과 거리가 멀었지만 유신들은 열심히 일을 배우며 마을 살림을 돕는다. 어딜 가나 남녀 간의 정분이 나기 마련이라 마을 처녀와 사랑에 빠지는 일도 생긴다.

그러나 유신들의 마음은 고려 왕조를 복권하는 데 있다. 은밀한 대화가 새어나가고 질투심에 눈이 먼 돌치가 이를 폭로하면서 위기가 찾아온다.
이미지 확대
‘화전’에 출연한 배우들이 공연이 끝나고 무대 인사를 하고 있다. 류재민 기자
‘화전’에 출연한 배우들이 공연이 끝나고 무대 인사를 하고 있다. 류재민 기자
자신들의 생존을 위해서는 유신들을 역적으로 고발하는 게 최선이었지만 그래도 얼마간 함께 살아간 정 때문에 촌장은 냉혹하게 내치지 못한다. 결국 이들을 도피시키기로 했지만 돌치의 신고로 출동한 현감과 병사들이 산에다 불을 지르며 비극으로 작품이 마무리된다. 지금은 옅어진 공동체에 대한 애정과 고뇌가 슬프게 그려진다.

‘정선아리랑’은 정선으로 도피한 고려 유신들이 가족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고난을 겪어야 하는 비통한 심정을 한시로 지어 부르던 것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졌다. 노래에 얽힌 구체적인 사연을 전한 뒤 마지막 장면에 구슬피 부르는 ‘정선아리랑’은 그래서 더 깊은 울림을 준다.

단순한 이야기 구조는 그 시절 사람들의 서글픈 현실을 담아내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했다. 여기에 생생한 강원도 사투리와 음악적 요소를 극대화한 점이 작품감상의 또 다른 매력을 더했다. 작품 자체의 메시지도 그렇지만 다양한 연령대의 배우들이 균형감 있게 어우러져 공존의 가치를 더욱 일깨우는 연극이다.

정선에는 여전히 이들이 살다 간 흔적이 남아 있다. 25일까지. 서울 종로구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