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도 언어일 뿐 대중 요구 따라야

한글도 언어일 뿐 대중 요구 따라야

입력 2012-08-04 00:00
업데이트 2012-08-04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글 민주주의】 최경봉 지음 책과함께 펴냄

‘한자를 쓰면 안 되고 한글만 써야 한다.’ ‘외래어는 모두 고유어로 바꿔야 한다.’ ‘자랑스러운 한글을 세계에 수출하자.’

우리 사회엔 한글의 우수성을 강조한 집착과 일방의 구호가 난무해 왔다. 이런 한글 지상주의는 한글과 한국어를 동일시한 인식에 바탕을 둔다. 최근 들어 ‘한글 민족주의’를 경계하는 목소리가 부쩍 높아지는 것도 그에 대한 반작용일 수 있다.

‘한글 민주주의’(최경봉 지음, 책과함께 펴냄)는 과도한 민족주의적 차원의 한글 우월주의에 반기를 들어 ‘열린 한글 사용’을 정색하고 주장한 책이다. 우리 말의 역사와 미래를 천착해 온 원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의 지론이 담긴 역작이다.

저자의 메스는 우선 역사적 경험과 상처를 겨냥한다. 말이란 생득적이지만 문자는 선택의 대상이며 그러한 선택은 언제나 역사적 선택이었다는 것이다.

저자의 설명을 따라가 보자. 세종대왕은 새 문자에 ‘훈민정음’이란 이름을 붙였지만, 당시 사람들은 이를 ‘한문’에 대비해 ‘언문’이라고 불렀다.

이후 근대화가 되어 민족과 국가의 의미가 새로워지면서 ‘속되다.’라는 뜻을 품은 언문이란 표현을 용납할 수 없었고 대신 ‘국문’이란 말을 쓰기 시작했다.

국가가 일본에 병합되고 국문과 국어가 일문과 일본어를 뜻하는 이름이 되자, 조선인들은 ‘국문’을 대신할 이름을 찾았고 대한제국의 글, 또는 문자란 뜻으로 사용되던 ‘한문’을 풀어쓴 ‘한글’이 탄생한 것이다.

나라를 빼앗긴 사람들에게 ‘한글’은 독립 의지를 일깨우는 이름이자 ‘민족 얼’의 상징이기도 했다. 한글을 지키는 것이 곧 우리 말을 지키는 길이었던 상황에서 말과 글을 구분함은 무의미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저자는 한글과 한국어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었던 역사적 경험과 상처를 걷어내자고 거듭 강조한다. ‘한글이 없어진다면 민족의 정체성이 없어질 수도 있다.’는 인식에 대한 의문 제기다.

그래서 저자의 결론은 “한글을 둘러싼 소모적 논쟁 대신 우리 삶에서 언어와 문자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한 진지한 성찰”로 향한다. 물론 인간이 사용하는 도구라는 점에서 언어와 문자는 해당 공동체 구성원이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저자는 사회생활의 도구이기에 언어와 문자의 선택과 유지에는 구성원의 합의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그 선택에 ‘민주주의’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저자는 그래서 이렇게 결론짓는다. “편리성의 기준을 정하는 것은 언어를 사용하는 대중의 몫이며 어문정책은 대중의 요구를 반영해서 발전 방향을 정해야 한다.” 1만 3000원.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08-04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