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켜준다면서 왜 구럼비를 폭파해?” 열세 살 아이는 이해할 수 없습니다

“지켜준다면서 왜 구럼비를 폭파해?” 열세 살 아이는 이해할 수 없습니다

입력 2012-08-04 00:00
업데이트 2012-08-04 01: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럼비를 사랑한 별이의 노래】 김선우·전석순·이은선 지음 나미나 그림 단비 펴냄

“왜……, 왜 구럼비를 폭파한다는 거야?” “그야 해군기지를 만들려고.” “해군기지는 우리 바다와 마을을 지켜주기 위한 거잖아.” “응, 그렇지.” “구럼비는 우리 마을이잖아.” “…….”(59~60쪽)

이미지 확대
아이들에게는 추억을 만들어 주고, 마을 사람들에게는 삶의 터전이 된 제주 강정 마을의 구럼비 바위. ‘구럼비를 사랑한 별이의 노래’는 현재 강정 마을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생각하게 하는 어른을 위한 동화다. 단비 제공
아이들에게는 추억을 만들어 주고, 마을 사람들에게는 삶의 터전이 된 제주 강정 마을의 구럼비 바위. ‘구럼비를 사랑한 별이의 노래’는 현재 강정 마을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생각하게 하는 어른을 위한 동화다.
단비 제공
안전하게 지켜주기 위해서 파괴해야 한다는 논리가 참으로 해괴하다. 이런 모순이 설득력을 얻기도 전에 행동으로 옮겨진 곳이 제주 강정 마을이다. 이곳에서 벌어지는 논란과 현재를 열세 살 아이의 눈으로 바라보고 그려낸 동화가 출간됐다. 시인 겸 소설가 김선우(42)와 1983년생 동갑내기 소설가 전석순·이은선, 역시 동갑인 미디어 아티스트 나미나가 함께 만든 ‘구럼비를 사랑한 별이의 노래’(단비 펴냄)다.

동화의 주인공 한별이의 꿈은 해군이다. 바다 해(海)자에는 물(水)이 있고, 엄마(母) 위에 지붕이 있어 좋아한다. 해군이 되고 싶은 중요한 이유가 또 있다. “나는 바다를 지키고 싶고, 우리 집과 우리 학교와 우리 동네와 내 친구들을 지키고 싶고, 무엇보다 엄마를 지키고 싶다.”(18쪽)

그래서 한별이에게 구럼비는 특별하다. 결혼 전 아빠와 엄마가 데이트하던 곳이고, 아빠가 엄마에게 프러포즈를 한 곳이기도 하다. 어린 한별이에게 자장가를 불러준 엄마는 이제 없지만, 이곳에서 한별이는 엄마와 이야기를 나눈다. 구럼비는 물질하던 동네 아주머니가 쉬는 곳이기도 하고, 일에 지친 아저씨들이 낮잠을 자는 곳이기도 하다.

그런 구럼비가 어느 날부터 철조망으로 칭칭 감겼다. 동네에는 ‘강정 지킴이’ 티셔츠를 입은 낯선 사람들과 경찰들이 몰려왔다. 사이렌 소리는 끊이지 않는다. 친구들은 하나둘 떠나고 마을 어른들은 편을 갈라 싸우고 있다. 모든 게 해군기지에서 시작됐다. 학교 꽃밭에 심을 꽃을 고르는 데도 아주 오랫동안 친구들과 이야기를 해야 했는데 반대하는 사람이 훨씬 더 많은 해군기지는 어떻게 세울 수 있게 됐는지, 마을을 지켜 준다는 해군이 왜 마을 자체인 구럼비를 폭파한다는 것인지, 한별이는 이해할 수가 없다.

무엇보다도 “엄마가 저기 있는데!”

동화는 구럼비를 보호하려는 사람들과 해군기지를 강행하려는 이들의 첨예한 대립을 꽤 생생하고 전달력 있게 풀어냈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와 구럼비의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떠나 구럼비가 왜 함부로 할 수 없는 곳인지, 그 의미가 확실하게 와 닿는다.

동화를 기획한 김선우 작가는 머리말에서 “어느 날부터인가 신문에서 강정이 사라졌다. 강정앓이들의 안타까운 한숨과 애타는 기도만이 곳곳에서 여전히 생생했다. 언론이 더 이상 강정을 말하지 않는다면 다른 방법을 찾아야 했다.”면서 의도를 밝혔다. 그래서 글벗들을 찾았고, 네 명이 뭉쳤다. 그게 지난 5월이다.

“사람들이 완전히 끝났다고 느끼기 전에, 실제로 완전히 끝나기 전에 알려야 했다.”는 이은선 작가는 “밤새 전 작가가 글을 쓰면 오전에 내가 잇고, 김선우 시인이 감수를 하면서 또 이어 가는 식으로 글을 써 냈다.”면서 얼마나 다급하고 절박하게 만들어 냈는지 설명했다. 이 작가는 제주 할망 설화에 인물들의 감정을 녹여낸 서사시도 이야기 중간중간에 넣었다. 나 작가 역시 제주에 머물면서 거의 매일 하나씩 삽화를 그려 냈다. 그렇게 탈고하고 인쇄해 지난달 29일 강정 마을에서 열린 평화대행진 전야제 때 도서 기증식까지 마칠 수 있었다고 했다. ‘구럼비를 사랑한’은 오는 17일부터 서울 중구 을지로2가 향린교회에서 시작하는 토크콘서트로도 만날 수 있다. 인세는 강정 마을에 평화도서관을 세우는 데 기부할 계획이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8-04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