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유랑민에 건네는 44편의 편지

디지털 유랑민에 건네는 44편의 편지

입력 2012-08-18 00:00
업데이트 2012-08-18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독을 잃어버린 시간】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동녘 펴냄

‘고독을 잃어버린 시간’(조은평·강지은 옮김, 동녘 펴냄)은 ‘액체근대’ 혹은 ‘유동하는 근대’(Liquid Modernity)란 개념으로 유명한 폴란드 출신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의 책이다. 유동하는 근대란 근대에 들어 그 모든 제도, 문화, 관습이 녹아서 흘러내렸다는 의미다. 기댈 만한 견고한 공동체는 사라져버렸고, 의지할 곳을 잃어버린 개인들이 둥둥 흘러다니는 사회가 됐다는 것이다.

이게 자유일까, 아니면 불안과 공포일까. 바우만은 후자 쪽에 선다. “그 어떤 방식으로도 신뢰를 보장해 주지 않고, 장기적인 확실성을 분명히 보여 줄 만큼 오랫동안 유지되지도 않는 이 세계에서는 앉아 있는 것보다 걷는 편이 낫고, 걷는 것보다는 뛰는 편이 나으며, 뛰는 것보다 오히려 서핑하는 편이 훨씬 낫다.” 공동체는 찢어지고 제각각 스펙으로 무장해서 살아야 하는 시대다. 최첨단을 달린다는 사람일수록 인터넷, 스마트폰, 페이스북, 트위터에 지나칠 정도로 몰두하는 현상도 이런 서핑하는 삶의 연장 선상이다.

바우만은 그 결과 내밀한 사적 생활과 공적 생활 간 구분이 무너져버린 현상을 ‘프라이버시라는 기묘한 사건’에서, 제약회사들이 약보다는 질병을 만들어내는 데 몰두하는 현상을 ‘질병 권하는 사회’에서, 부의 불균등한 분배로 사회 전체가 일그러지는 현상을 ‘건강 불평등’, ‘해고되는 사람들’ 등에서 자세히 다룬다.

바우만은 “사람들이 행복을 홀로 추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자신에 대한 관심과 자기 보호라는 원래의 목적을 불가능하게 하는 치명적인 오해에 불과”하다고 분명히 말했다.

책은 이탈리아의 한 주간지의 제안에 따라 2년간 독자에게 건네는 편지, 그러니까 부제처럼 ‘유동하는 근대 세계에 띄우는 편지’ 형식으로 쓴 글을 모아 둔 것이다. 지적인 문체에도 불구하고 문학, 영화, TV 같은 대중적 소재를 많이 다뤄 여든일곱 노학자의 구수한 이야기처럼 읽힌다. 바우만이 얘기하고픈 것은 결국 희망이다. 책에는 44개의 편지가 실렸는데 ‘44’라는 숫자가 폴란드 낭만주의 전통에서 “자유에 대한 경외감과 희망, 그리고 결국에는 자유의 도래”를 뜻한다고 해뒀다. 1만 6000원.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8-18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