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년 조선의 관청, 한양과 서울을 잇다

500년 조선의 관청, 한양과 서울을 잇다

함혜리 기자
입력 2015-07-24 23:16
업데이트 2015-07-25 0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양의 탄생/서울학연구소 엮음/글항아리/316쪽/1만 9000원

지금이야 정부 조직과 이름이 수시로 바뀌지만 국왕을 정점으로 의정부와 육조가 핵심을 이루는 조선의 정치기구는 큰 틀의 변화 없이 500년을 이어져 내려왔다. 한양의 거리는 경복궁을 중심으로 의정부와 육조로 대표되는 주요 관청이 들어섬으로써 발달했다. 육조거리라 불리며 정치와 행정의 심장이었던 육조거리의 역사는 정부종합청사가 자리한 광화문 세종로를 중심으로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신간 ‘한양의 탄생’은 조선의 핵심 관청들을 통해 역사를 되짚어 볼 수도 있다는 관점에서 출발한 책이다.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가 엮은 첫 번째 ‘서울장소인문학 총서’로 이익주 서울시립대 교수, 김문식 단국대 교수, 노경희 울산대 교수, 문중양 서울대 교수, 황정연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등이 집필에 참여했다.

의정부와 이·호·예·병·형·공의 육조는 마치 천칭과 같아서 업무 분장 문제, 국왕에 대한 보고체계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권력의 중심추가 이동했다.

그 사이를 조율하는 역할은 왕에게 있었지만 쉽지 않았고 조선 후기 비변사라는 새로운 기구가 출현하면서 권력 구도는 새로운 국면을 맞는다. 군사와 정무를 관장하는 최고 관청에서 출발한 비변사는 국방과 재정, 암행어사와 같은 특수한 임무를 띠는 주요 관직에 대한 추천권까지 갖게 되면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했다. 조선 후기 세도정치를 했던 안동 김씨가 오래동안 비변사를 장악했으며 의정부와 육조의 권력은 약해져 갔다. 왕권 역시 약화되자 풍양 조씨인 신정왕후는 1865년 흥선대원군과 뜻을 맞춰 비변사를 개편하기에 이른다. 갑오개혁으로 의정부와 육조도 역사의 뒷길로 사라졌다.

책은 이 밖에 제례를 담당했던 봉상시, 천문 관측을 주 업무로 삼았던 관상감, 의료기관인 내의원·혜민서·활인서, 궁중음악 전문기관인 장악원, 금속활자를 주조하고 서책을 간행한 주자소와 교서관, 외국어 실력자들이 모인 사역원 등 한양 관청의 역할과 역사를 세밀하게 들여다본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7-25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