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터는 【 】다

루터는 【 】다

김성호 기자
입력 2017-10-27 17:36
업데이트 2017-10-27 17: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종교개혁 500년… 재조명 서적 봇물

1517년 10월 31일은 마르틴 루터가 비텐베르크 성 교회 출입문에 ‘95개조 반박문’을 내건 날. 이른바 기독교계가 ‘종교개혁’의 시발로 규정한 날이다. 면벌부와 관련해 독일 제국교회 수석대주교 알브레히트 폰 브란덴부르크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의 그 반박문은 부패와 적폐 청산을 기치로 내건 종교개혁의 태동이자 요체로 잘 알려져 있다. 그로부터 500년이 지난 지금 기독교는 어떤 모습일까. 요즘 출판가에 관련 책들이 쏟아진다. 루터의 재조명부터 종교개혁의 허실, 한국 기독교의 현주소까지 다양하게 짚고 있다.
이미지 확대
마르틴 루터의 초상(루카스 크라나흐 작, 1529년) 21세기북스 제공
마르틴 루터의 초상(루카스 크라나흐 작, 1529년)
21세기북스 제공
●‘개혁가’ 루터, 완벽한 영웅은 아니었다

출간된 책들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단연 루터의 재조명이다. ‘종교개혁 태두’의 재발견을 통해 개혁의 배경과 성과를 되짚어 신선하다. ‘미완의 개혁가, 마르틴 루터’(21세기북스), ‘루터’(제3의공간), ‘루터의 두 얼굴’(평사리)…. 이 가운데 서울대 박흥식(서양사학) 교수가 쓴 ‘미완의 개혁가…’는 루터의 진면모를 따져 새삼스럽다. 저자에 따르자면 루터는 ‘헌신적 개혁가’였지만 ‘완벽한 영웅’은 아니었다. 종교개혁이 낳은 분열이며 농민전쟁, 반(反)유대주의 같은 한계를 풀어낸 책에서, 루터는 그동안 대세였던 ‘신격화의 대상’에서 ‘보통사람’으로 격하한다. 귀족들의 농민착취에 눈감았는가 하면 권력자에게 기대 눈앞 이득을 찾으려 애썼다는 면면의 소개가 흥미롭다. 그 재평가는 한국 개신교로 이어진다. “한국 개신교회도 루터의 유산을 분별력 있게 계승해 이웃을 위한 종교로 거듭나자.”
이미지 확대
‘르네상스기 교황제’의 권위자인 폴커 라인하르트가 쓴 ‘루터’도 루터 재해석으로 흥미롭다. 종교개혁과 관련, ‘부패한 교황 대 깨끗한 루터’라는 구도를 보기 좋게 뒤집는다. 바티칸 문서고에서 건져낸 교황청 회의록, 칙서, 외교관 보고서를 통해서다. 그 전복 중 하나는 ‘미디어 전술 천재’로서의 루터이다. 기독교 문명의 변방인 독일의 이름 없는 수도사가 어떻게 교황 레오 10세를 상대로 싸울 수 있었을까. 그건 바로 출판의 힘이었다고 한다. 루터는 논쟁마다 기록하고 인쇄 배포해 민중과 소외된 지식인, 성직자의 지지를 얻어냈다. 이에 반해 교황청은 인쇄물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하다가 뒤늦게 ‘말의 전쟁’에 뛰어들었고, 그마저도 라틴어를 고집해 민중 대부분을 홀대하는 실수를 범했다. 루터의 비판이 득세한 건 가톨릭 주변부로 소외감을 느끼던 독일지역 제후들이 뒷받침했고, 샌님 같았던 루터가 인쇄술로 강렬한 문건을 전파하는 여론전에 능숙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신학자·루터 지지자 등 통한 사실적 추적

이에 비해 ‘1517 종교개혁’(21세기북스)과 도서출판 길의 루터 3부작(‘종교개혁의 역사’, ‘루터의 3대 논문집’, ‘루터와 종교개혁’), ‘종교개혁, 그리고 이후 500년’(을유문화사)은 개혁 인물과 사건, 그리고 현실문제를 사실적으로 추적해 주목된다. 이 가운데 ‘1517 종교개혁’은 슈피겔지 언론인들이 엮은 책. 독일의 사학자, 교회사학자, 신학자 26명의 주장을 비교해 실었다. 루터의 열혈 지지자였던 기사 지킹엔, 종교개혁기 3대 화가 중 한 사람인 루카스 크라나흐, 종교개혁 운동에 기여한 여성, 뉘른베르크시와 스웨덴 등 여러 곳에서 진행된 독특한 양상의 개혁을 추적해 볼 수 있다. 도서출판 길의 루터 3부작도 비슷한 구성의 역작. 특히 루터의 3대 논문집은 루터가 교회에 맞서 1519년 발표한 3대 논문의 번역본으로, 루터의 초기 사상을 들여다볼 수 있는 생생한 기록이다. 라틴어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판본인 ‘바이마르 비판본’을 옮긴 점이 특징이다.

●개신교 치부 가감 없는 해부도 눈길

3부작 중 독일 교회사가 토마스 카우프만이 쓴 ‘종교개혁의 역사’와 김덕영 독일 카셀대 교수의 ‘루터와 종교개혁’에선 우리 시대에 대한 비판이 돋보인다. 가톨릭 타락상을 강조하고 루터의 영웅성에 초점을 맞춘 종교개혁의 기존 접근법 비판에 더해, 비판 대상이었던 가톨릭은 역(逆)종교개혁으로 살아남은 반면 개신교는 정치화되고 분열했다는 주장이 들어 있다. ‘종교개혁, 그리고 이후 500년’(을유문화사)은 한국 교회를 가장 비판적으로 들여다본 책. 라은성 총신대 교수, 이상규 고신대 교수 등이 기독교의 역사부터 지금 한국교회의 문제까지를 꼼꼼하게 훑었다. 친일 청산 좌절, 교회의 정치권력 유착, 성장만능주의 등 우리 개신교계의 치부를 가감 없이 해부한 점이 눈에 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7-10-28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