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동당출판까지 뒤졌다… ‘김원봉의 진실’ 담았다

로동당출판까지 뒤졌다… ‘김원봉의 진실’ 담았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9-11-06 22:24
업데이트 2019-11-07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설가 이원규 ‘민족혁명가 김원봉’ 출간…육촌동생이 50년 숨겨뒀던 사진도 담아

이미지 확대
‘민족혁명가 김원봉’을 품에 안고 포즈를 취한 이원규 작가는 책을 쓰기 위해 미국, 옛 소련, 일본, 북한 등에서 자료를 두루 수집한 이야기를 하며 “지금까지 나온 김원봉 평전 가운데 사료 조사가 가장 철저하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민족혁명가 김원봉’을 품에 안고 포즈를 취한 이원규 작가는 책을 쓰기 위해 미국, 옛 소련, 일본, 북한 등에서 자료를 두루 수집한 이야기를 하며 “지금까지 나온 김원봉 평전 가운데 사료 조사가 가장 철저하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2005년 당시 책을 낼 때에는 중국이나 북한 자료를 구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오류도, 부족한 부분도 많았는데, 마침 지난해 서울신문과 현장 동행취재를 거쳐 사료를 보완해 책을 내게 됐습니다.”

6일 서울 중구 순화동천에서 기자들과 만난 소설가 이원규씨는 신간 ‘민족혁명가 김원봉’(한길사)을 소개하면서 자료 수집의 고충을 털어놨다. 약산 김원봉은 1919년 의열단을 결성하고 1938년 조선의용대를 창설했다. 해방 후 북한으로 가 1948년 국가검열상, 1952년 노동상을 거친 뒤 1958년 김일성에게 숙청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혁혁한 공을 세웠지만 한국전쟁 시기를 포함해 그가 북한의 고위직을 맡았던 행적이 문제가 되면서 그를 역사적으로 재조명하는 연구는 전무하다시피 했다.

“미국과 소련, 일본은 물론 북한 로동당출판사가 발간한 김일성 저작집까지 조사했다”는 이 작가는 그동안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수집한 참고서적 80여권, 논문·잡지·신문 등이 130여편, 각종 문서 등이 30여편을 이 책에 녹여냈다. 저자가 수집하고 직접 촬영한 사진 116장도 담겼다. 김원봉 육촌동생 김태근이 50년간 숨겨뒀다 처음 내놓은 사진부터 가장 최근 발견한 북한에서의 김원봉의 모습도 들어 있다. 북한에 주재했던 푸자노프 소련대사 일지 등은 학계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은 내용이다. 책은 김원봉에 대한 가장 많은 사료를 품은 셈이다.

저자는 책을 두고 “김원봉 일대기를 설명하면서 약간의 가공을 한 일종의 ‘팩션’(팩트+픽션)”이라면서 “사료가 충돌하거나 빠진 부분은 저자의 상상력으로 메우고, 관련해 300개의 주석을 붙여 혼란을 줄였다”고 했다. 이어 “이념 논란 때문에 학계 연구가 부족해 여전히 자료가 미흡하다. 팩트가 70%, 상상력이 30% 정도라고 봐 달라”고 덧붙였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11-07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