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까지 ‘실수’만? 이상문학상 사태가 남긴 것[문화블로그]

언제까지 ‘실수’만? 이상문학상 사태가 남긴 것[문화블로그]

이슬기 기자
입력 2020-02-05 15:00
업데이트 2020-02-05 15: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19년도 이상문학상 작품집 표지. 윤이형 작가가 대상을, 최은영 작가가 우수상을 수상했다. 문학사상사
2019년도 이상문학상 작품집 표지. 윤이형 작가가 대상을, 최은영 작가가 우수상을 수상했다.
문학사상사
지난달 6일 김금희·최은영·이기호 작가의 우수상 수상 거부로 촉발된 이상문학상 사태가 ‘전면 시정’이라는 문학사상사의 공식 입장 표명으로 마무리되기까지 근 한 달이 걸렸다. 그 와중에 전년도 대상 수상자인 윤이형 작가가 문학사상사의 사과와 재발 방지를 요구하며 절필을 하고, 수많은 문인들이 연대해 ‘#문학사상사_업무_거부’ 해시태그를 내걸었다. 독자들은 ‘#문학사상사_소비_거부’, ‘#작가들은_우리가_지킨다’로 화답했다.

한 달 가까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은 문학사상사에서 가장 많이 들은 말은 ‘실수’였다. 문제가 됐던 우수상 조항 ‘저작권 3년 양도, 개인 작품집 표제작 금지’에 대해 문학사상사는 “사라진 조항이 직원 실수로 지난해와 올해 다시 기재된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4일 오전 문학사상사 페이스북 페이지에 올린 입장문을 올렸다 내리면서도 “초고가 실수로 잘못 올라간 것”이라고 했다.

44년 권위의 문학상을 운영해 온 주최사에서 듣는 말 치고는 가볍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문학사상사는 실수라는 말 뒤에 숨으려는 것일까, 아니면 실수는 정말 실수인 걸까. 그 말이 사실이라면 작가들은 누군가의 실수로 상처받고, 절필까지 선언하게 되었다. 수많은 실수가 쌓아올린 일이라면 뭇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 온 문학상 주최사의 가벼움이 문제일 것이어서 그간의 명성이 ‘허명’이라는 반증이다.

실수가 아니라면 반쪽짜리 사과다. 문학사상사는 오전에 올렸던 입장문에서는 “우수상 조건을 삭제한다”고 했다가 오후에 올린 글에는 “수상자의 의견을 수렴하겠다”로 바꿨다. “애초에 없었어야 할 우수상에 대한 조건이 그동안 일관성 없이 적용된 부분을 인지했고, 앞으로는 제약이 전혀 없음을 밝힌다”는 부연과 함께였다. ‘일관성 결여’라는 실수를 인정했다면 ‘우수상 조건 삭제’는 그대로 뒀어야 했는데, 끝끝내 실수로 치부하는 모습이었다.

문청(文靑)이라면 기자를 포함해 누구나가 다 이상문학상 작품집에 관한 추억이 있다. 일련의 사태를 지켜보며 독자들은 이상문학상 작품집을 꼬박 기다리던 시절, 서가에 진열해 놓고 뿌듯해했던 시절을 통째로 모욕당했다. 그러나 희망도 있다. ‘문단’의 실체는 정확히 몰라도 글 쓰는 사람들의 동류의식은 확실하다는 것을, 수많은 ‘#문학사상사_업무_거부’가 증명했기 때문이었다. 먼저 상을 받은 사람들이 자신의 안일함을 미안해했고, 함께 글을 쓰는 사람이라는 이유만으로 ‘판’을 바꾸는 일에 기꺼이 가담했다. 빛나는 윤리 의식이었고, 글과 삶이 일치하는 사람들의 모습이었다.

이상문학상의 앞날은 김금희 작가의 말처럼 “문학사상사의 구체적 실천에 따라 독자들이 판단할 문제”겠지만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넌 것으로 보인다. 실수였어도 실수라고 말할 입이 없음을, 문학사상사는 끝끝내 몰랐다. 단 문단은 몰라도 문학에 대한 기대는 여전해도 된다는 한 줄기 희망을 ‘이상문학상 사태’는 증명해 보였다. 실망하지 말고, 아프지 말자. 한국 문학 독자들에게, 스스로에게 하고 싶은 말이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