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옛적엔… 왜 여신을 더 숭배했을까

옛날 옛적엔… 왜 여신을 더 숭배했을까

김성호 기자
입력 2020-02-13 17:26
업데이트 2020-02-14 0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대에서 도착한 생각들/전호태 지음/창비/508쪽/2만 2000원

이미지 확대
강변 바위 절벽에 세워진 울산 반구대암각화 원경. 한국 선사 고대미술의 출발점으로 여겨지는 이 암각화를 남긴 사람과 그들의 문화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서울신문 DB
강변 바위 절벽에 세워진 울산 반구대암각화 원경. 한국 선사 고대미술의 출발점으로 여겨지는 이 암각화를 남긴 사람과 그들의 문화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서울신문 DB
과거로 떠나는 시간 여행은 새롭고도 흥미진진하다. 역사 유물을 매개로 만나는 옛사람들의 흔적은 신기하고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국내 고분벽화와 암각화 연구의 권위자인 전호태 울산대 역사문화학과 교수가 펴낸 ‘고대에서 도착한 생각들’은 그 역사 기행의 속 깊은 길잡이로 읽힌다. 구석기에서 삼국시대에 걸쳐 수만년간 축적된 고대 한민족의 생각과 신앙을 담았다. 동서양 신화와 미술, 종교를 넘나들며 우리 고대 사상을 입체적으로 짚어 현실감 있게 다가온다. 특히 아버지와 아들이 같은 눈높이에서 동일한 유물을 마주하며 오순도순 대화하는 형식으로 풀어 내는 구성이 독특하다.
이미지 확대
중국 진시황릉 병마용. 왕과 귀족들이 내세의 삶을 살기 위해 생전 함께하던 사람들을 여럿 데려가던 관습은 차츰 흙으로 구운 인형으로 대체됐고, 중국에서는 오랜 기간 벽화도 그렸다. 서울신문 DB
중국 진시황릉 병마용. 왕과 귀족들이 내세의 삶을 살기 위해 생전 함께하던 사람들을 여럿 데려가던 관습은 차츰 흙으로 구운 인형으로 대체됐고, 중국에서는 오랜 기간 벽화도 그렸다.
서울신문 DB
고대인들은 왜 벽화를 남겼을까, 그들에게 신은 어떤 존재였나, 고대인의 생각은 현대인의 사고와 크게 다른 것이었을까…. 역사 기행을 거듭하던 저자는 이렇게 쓰고 있다. “선사시대나 지금이나 논리적 전개 과정이 더 복잡해진 것 말고 사람이 세상을 보는 눈, 우주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방식이 질적으로 얼마나 크게 달라졌는지 확신하지 못한다.”

구석기-신석기-청동기-(초기)철기 시대로 이어지는 선사시대 역사를 짚은 책의 앞 부분에서 단연 눈길을 끄는 테마는 여신상(女神像)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선사시대, 특히 신석기시대까지의 신상 중 90% 이상이 여신인 까닭은 무엇일까. 동서양 신화 모두에서 사람에게 아이를 주는 이가 여신으로 등장하는 이유는 뭘까.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남신이 아닌 여신을 먼저 형상화하고 숭배한 이유를 설명한 대화를 보자.

“여신의 눈에서 흐르는 눈물은 대지를 적시는 비가 된다는 이야기도 있어”, “비가 낮은 곳에 모이며 가을이 되고 강이 되어 흐르지. 강에 사는 많은 생명이 여신의 눈물을 먹고 사시며 자라는 거야.” 일반인이 편하게 만날 수 있는 쉬운 역사 기행 길잡이이면서도 녹록지 않은 깊이가 묻어난다.
이미지 확대
흔히 신석기시대는 ‘토기 제작’과 ‘농경’의 시대로 각인돼 있다. 책에선 구석기시대에서 신석기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이 사고의 큰 도약기로 소개된다. 보이진 않지만 있다고 믿는 존재, 즉 ‘신’을 발견하고 만들어 낸 것도 이 무렵의 일이라니 흥미롭다. 신전·신상을 통해 숭배의 제의를 수행하면서 세상과 삶의 근원을 탐구해 만든 게 바로 신화다. 책은 신석기시대인들이 죽은 뒤의 ‘내세’ 개념을 고안해 장례를 치르고, 신에게 죽은 자의 내세를 지켜 줄 것을 기원했음을 보여 준다.

고대인들은 왜 삶터며 죽음터에 그림을 남겼을까. 저자는 반구대암각화유적보전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권위자답게 고분벽화에 많은 부분을 할애했다. 벽화의 시작과 원인, 과정에 담긴 속살을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구석기시대 동굴벽화에서 시작된 벽화미술은 신석기~청동기를 거치며 암각화로 발전했다. 특히 벽화는 역사시대 들어서 무덤 속으로 옮겨졌고, 사람들의 내세관을 형성한 불교, 도교, 신선신앙 등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형태로 산재하게 된다. 저자는 “그들에게 생존은 스스로의 의지와 노력에만 달린 문제가 아니었다. 그들은 그림을 통해 강한 존재와 함께 있기를 원했고 그 바람을 그림으로 남겼다”고 쓰고 있다.

후기 철기~삼국 시대를 다룬 뒷부분에서 눈여겨볼 대목은 고대인의 종교와 사상이다. 청동기시대 이후 부족국가가 형성되면서 현실의 권력 관계가 중요해졌을 것이다. 이 부분에서 저자는 “창세신화가 뒷전으로 물러나고 영웅신화의 시기가 열렸다”고 말한다. 고구려, 백제, 신라, 부여, 가야의 지배층이 우월함·신성성을 부각하려 시조의 영웅신화와 건국신화를 전파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책에선 한반도에 전파된 불교, 도교, 유교 사상의 주요한 가르침이며 유입 배경과 과정, 그에 따른 사회상 변화를 살피고 있다. 종교의 유입 과정과 흐름으로 삼국시대 동아시아의 외교 단면을 들춘 대목이 신선하다.

독자들은 자연스레 책 말미에 붙인 대화 한 대목에서 책 제목을 다시 생각해 볼 듯하다. “신념은 개인적이지만 사상은 집단적이야. 이념은 사회라는 범주를 넘어설 수 있다는 게 특징이고, 신앙도 본래는 극히 개인적인 것이지만, 제도화·사회화 과정을 거치면 종교가 돼. 신념이 신앙이 되고, 사상이 종교가 된 거지. 이는 집단적이고 사회적인 현상이야.”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20-02-14 3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