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하 탈출 투쟁기… ‘내 꺼인 듯 내 꺼 아닌’ 내 집을 위하여

반지하 탈출 투쟁기… ‘내 꺼인 듯 내 꺼 아닌’ 내 집을 위하여

입력 2020-02-13 17:26
업데이트 2020-02-14 0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동석 평론가의 뉴스 품은 책] 나의 주거 투쟁/김동하 지음/궁리/288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봉준호 감독 영화 ‘기생충’이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극영화상을 거머쥐며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을 휩쓸었다.

영국 BBC가 발 빠르게 ‘반지하’를 파고들며 ‘서울의 반지하에 사는 진짜 사람들’이라는 제목의 르포 기사를 보도했다. 기사는 “여름이면 참기 어려운 습기와 빨리 퍼지는 곰팡이와 싸운다”면서도 “젊은이들이 더 나은 미래를 희망하면서 살아가는 곳”이라고 했다. 반지하는 이제 전 세계적인 현상인 빈부격차를 논하는 하나의 상징이 됐다.

‘나의 주거 투쟁’은 저자가 10대부터 살아온 집에 관한 기록을 담았다. 반지하와 옥탑방은 기본, 식당에 딸린 방, 하숙, 자취, 우편물 수령이 어려운 다가구주택, 공동화장실 옆 미닫이 방, 후배 집 얹혀 살기, 선배 원룸에 얹혀 살기, 달동네, 급경사에 있는 빌라 등 말 그대로 갖가지다. 이 다채로운 주거 경험 때문인지 한창 주거 문제로 골몰하던 때, 괴테의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한다”라는 문장이 “인간은 노력하는 한 이사한다”로 읽혔다고 한다.

저자가 반지하를 탈출하려는 동기는 아이였다. 원체 몸과 마음이 튼튼한 부부는 빛이 잘 들지 않는 반지하에서도 몸에 이상 징후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미지 확대
하지만 태어나 몇 년을 반지하에서 보낸 첫째 아이는 비염으로 힘들어했고, 가족은 날마다 밤잠을 설쳤다. 반갑지 않은 손님 바퀴벌레도 수시로 출몰했다. 반지하에 살아 본 사람만이 안다. 공기 좋고 볕 잘 드는 곳에서 사는 게 얼마나 큰 행복인지를. 저자도 그런 곳을 찾아 “도망치듯 이사했다.” 산 주변 공기 좋은 곳으로 이사하고 1년쯤 지나자 아이의 비염은 사라지고, 삶의 질도 동반 상승했다.

이런저런 주거 투쟁 끝에 저자는 내 집 마련 꿈을 이룬다. 물론 은행 대출이 대부분이라 ‘내 집’이라긴 무색했지만 “원금과 이자를 꼬박꼬박 내다 보면 15년 만기상환일이 도래할 것”이라고 말한다. “나이 쉰은 넘어야 온전한 내 집을 갖게 되는 셈”이라는 저자의 말은 유행가 가사처럼 ‘내 꺼인 듯 내 꺼 아닌 내 꺼 같은’ 내 집에서 살 수밖에 없는 현대인의 자화상이다.

‘투쟁’이라는 거창한 단어를 붙이지 않았을 뿐 우리는 태어나 지금까지 여러 주거 형태를 경험했다. 그것이 모두 우리의 삶을 형성했고, 결국에는 생각과 가치관에 영향을 주었음이 틀림없다. 모든 사람이 주거 이력을 쓸 수 없겠지만, 잠깐이라도 오늘의 나를 만든 주거 이력을 스스로 정리해 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2020-02-14 3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